탄소 포집 스타트업 '씨이텍', 한투AC서 9억원 프리A 투자유치

머니투데이 남미래 기자 2024.06.04 13:00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씨이텍의 미 켄터키 0.7MW 설비 현장. (왼쪽부터)이윤제 씨이텍 이사, 이광순 씨이텍 대표, Kunlei Liu 켄터키 대학 교수/사진제공=씨이텍 씨이텍의 미 켄터키 0.7MW 설비 현장. (왼쪽부터)이윤제 씨이텍 이사, 이광순 씨이텍 대표, Kunlei Liu 켄터키 대학 교수/사진제공=씨이텍


습식 탄소 포집 스타트업 씨이텍이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로부터 9억원 규모의 프리A 투자를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씨이텍의 첫 번째 투자 유치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씨이텍의 기술력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씨이텍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0여년간 추진한 'Korea CCS 2020' 사업에서 개발한 습식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20년 12월에 설립되었다. 창립 초기 SK E&S의 상생협력기금을 통해 회사의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SK E&S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씨이텍은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 농도에 따라 최적화된 흡수제 기술 2종을 보유하고 있다. 석탄 화력발전소, 시멘트, 제철, 화학물질 제조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CO2 조건에 적합한 'MABSol®' 흡수제와 천연가스발전, 선박 배가스와 같은 저농도 CO2 조건에 최적화된 'CT-1®' 흡수제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습식 탄소 포집 기술은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탄소 포집 기술로 알려졌지만, 흡수제 재생에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는 점이 문제사항으로 그간 지적됐다. 씨이텍의 MABSol®과 CT-1®은 저수계 개념을 도입한 혁신 흡수제로, 흡수제와 CO2를 분리할 때 필요한 재생에너지를 상용 흡수제(MEA 30wt%) 대비 각각 40~45%만큼 줄였다.

또한 씨이텍은 해당 흡수제에 최적화돼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CO2 농도와 규모의 배출원에 최적화된 공정 설계를 제시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씨이텍은 이번 투자금으로 △선박 탄소포집을 위한 파일럿 실증연구 가속화 △다양한 배가스원에 대한 기술 상용화를 위한 모바일 공정 구축 △글로벌 시장개척을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남우현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심사역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요구는 글로벌 차원에서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씨이텍은 습식 탄소 포집 기술 영역에서 주요 문제점으로 제시됐던 경제성 이슈의 해결 가능성을 글로벌 유수 경쟁사의 평가를 진행한 미국 0.7MW급 설비에서 실증을 통해 보인 기업으로, 글로벌에서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이광순 씨이텍 대표는 "HD한국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과 협력해 내년 선박 탄소 포집 파일럿 실증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선박 탄소포집 시장에 도전할 것"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탄소 연구 기반을 보유한 텍사스 대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CT-1® 흡수제의 천연가스발전 적용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