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상승률 석달째 2.8%...증시는 일단 '쇼크없다' 안도

머니투데이 뉴욕=박준식 특파원 2024.05.31 22:35
글자크기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헤드라인 0.3% 2.7% 근원 0.2%, 2.8%...인건비와 유류비가 올해 상승폭 주도

미국 물가상승률 석달째 2.8%...증시는 일단 '쇼크없다' 안도


미국이 최우선하는 물가지표가 4월에 전년비 2.8% 상승률을 기록했다. 추정치보다는 0.1% 높았지만 인플레이션 저감이 목표치인 2%를 향해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위안삼을만 하다는 평가다.

31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는 지난 4월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전월비 0.3% 전년비 2.7% 상승했다고 밝혔다. 기존 전문가 예상치와 같은 수준이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는 전년비 0.2%, 전년비 2.8% 올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근원 PCE의 전년비 지표를 가장 중요한 물가 척도로 삼는다. 4월 물가상승률이 연준 기준에 따르면 2.8%라는 의미인데, 문제는 이 지표가 지난해 말 이후로 거의 정체 상태에서 더 내려오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근원 PCE는 지난해 12월 2.9%를 기록해 사정권인 2%대로 들어왔지만 이후 1월 2.9%, 2월 2.8%, 3월 2.8%, 4월 2.8%를 나타내고 있다. 5개월째 물가가 더 내려오지 않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서비스 가격 상승 때문으로 보인다. 4월 PCE 물가지수에서 상품 가격은 0.2% 상승한데 비해 서비스 가격은 0.3% 올라 오름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식품 가격은 0.2% 하락했지만 에너지 가격은 1.2% 상승했다.



(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FOMC가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한 후 기자회견을 갖고 “2% 물가라는 목표를 달성했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고 있다. 2024. .05..02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FOMC가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한 후 기자회견을 갖고 “2% 물가라는 목표를 달성했다는 더 큰 확신을 얻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히고 있다. 2024. .05..02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연간 비교로 보면 더 명확하다. 4월 PCE는 2.7% 올랐는데 상품 가격은 0.1%, 서비스 가격은 3.9% 상승했다. 지난해 물가상승은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수요급증으로 인한 상품 가격이 주도했다면, 올해 물가는 모든 물품 가격이 비싸지면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자 그에 한해 뒤따라 인건비가 치솟고 있다는 설명이다. 같은 기간에 식품 가격은 전년비 1.3%, 에너지 가격은 3.0% 올랐다. 사실상 올해 상반기에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것은 인건비와 유류비라는 얘기다.

상무부 경제분석국은 4월 PCE 가운데서 상품 지출은 0.4% 줄었고, 서비스 지출은 0.1%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상품군 내에서는 휘발유 소비와 여가품목 소비가 많이 줄었다고 밝혔다. 반면에 서비스군에서는 의료비가 크게 늘었다고 전했다.

4월 개인소득은 전월비 0.3% 증가해 예상치와 일치했다. 하지만 지출은 0.2% 증가에 그쳤다. 미국 가계가 살림살이를 죄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알리안츠 트레이드의 북미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댄 노스는 "제가 연준 의장이라면 물가가 하락하기 시작해야 금리를 인하할텐데 5개월째 변동이 없다"며 "현재 수치는 기대했던 것과는 분명히 다르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의 E트레이드 거래 및 투자 담당 전무 크리스 라킨은 "물가지표가 큰 진전을 보이지 않았지만 하락세도 나타나지 않았다"며 "다만 주가지수 선물의 초기 반응을 보면 시장은 이를 대부분 긍정적으로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이 오늘 데이터로 금리인하를 할 수는 없겠지만 9월 인하기대는 아직까지는 이르다"고 예상했다.


4월 PCE 발표 후 국채시장의 수익률은 하락했고 주가 선물은 다우(50p), S&P500(13p), 나스닥(78p) 모두 상승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