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사우디, 관계 개선 속도…트럼프 재선 시 탄력

머니투데이 최성근 전문위원, 김상희 기자 2024.06.02 06:00
글자크기

[선데이 모닝 키플랫폼] 글로벌 스캐너 #78_"속도 내는 미국-사우디 관계 개선"

편집자주 머니투데이 지식·학습 콘텐츠 브랜드 키플랫폼(K.E.Y. PLATFORM)이 새로운 한주를 준비하며 깊이 있는 지식과 정보를 찾는 분들을 위해 마련한 일요일 아침의 지식충전소 <선데이 모닝 키플랫폼>

[제다=AP/뉴시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0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회담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해 10월7일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6번째로 중동 순방길에 올랐으며 오는 22일 이스라엘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4.03.21. /사진=민경찬[제다=AP/뉴시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0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회담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해 10월7일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6번째로 중동 순방길에 올랐으며 오는 22일 이스라엘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4.03.21. /사진=민경찬


최근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간 외교적 합의가 속도를 내면서 갈등과 충돌로 점철된 중동 정세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된다. 미국과 사우디 양국이 협정 체결에 성공하면 향후 이스라엘과 사우디의 관계 정상화도 기대할 수 있어서다.

<선데이모닝 키플랫폼>은 양국이 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배경과 미국이 주도하는 '아브라함 협정'의 체결 가능성, 미 대선 결과가 미칠 영향 등을 짚어봤다.



대선 앞둔 바이든 정부, 외교적 성과 절실
전통적 우방이던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의혹 등으로 인권 문제를 강조하는 조 바이든 정부 들어 크게 악화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를 포함한 주요 사안에 대해 미국이 사우디의 협력을 필요로 하면서 관계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미국은 이스라엘과 사우디의 관계 정상화를 중동 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사우디와 논의를 이어갔지만 지난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터지면서 모든 협상이 중단됐다.

그러다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시 바이든 정부가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에 나서고 있다. 지지율에서 열세인 바이든 대통령이 중동에서의 외교적 성과가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선에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와 이스라엘 관계를 정상화시킨다면 이는 외교적 성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특히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반이스라엘 정서가 커진 지지자들의 반발까지 우려되자 바이든 정부는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를 위해 서둘러 사우디를 끌어들이는 모양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22일 미국과 사우디가 원자력, 안보, 국방 협력에 관한 협정 체결에 매우 근접했으며 몇 주 안에 합의가 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사우디는 미국에 비해 급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사우디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제시한 조건은 △상호방위조약을 통한 안보 보장 △첨단 무기 도입 및 우라늄 농축 허용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의 3가지인데 이를 바이든 정부가 얼마나 수용할지가 관건이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사우디 양국이 서로 손해 볼게 없는 상황이므로 방위조약과 원전 협정 등 체결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박현도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교수는 "미국은 궁극적으로 사우디와 이스라엘 관계 정상화를 위한 하나의 전략 차원이고, 사우디는 자국 방어와 안보가 핵심 사안이기 때문에 만약 사우디의 조건을 미국이 수용한다면 사우디로선 전혀 손해 볼 것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사우디가 요구하는 상호방위조약은 상원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라는 점, 우라늄 농축과 핵연료 재처리 요구는 핵확산금지조약(NPT)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점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라코니아 로이터=뉴스1) 정지윤 기자 = 프라이머리를 하루 앞둔 22일(현지시간) 미국 뉴햄프셔주 라코니아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설을 하고 있다. 2024.01.22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라코니아 로이터=뉴스1) 정지윤 기자(라코니아 로이터=뉴스1) 정지윤 기자 = 프라이머리를 하루 앞둔 22일(현지시간) 미국 뉴햄프셔주 라코니아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설을 하고 있다. 2024.01.22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라코니아 로이터=뉴스1) 정지윤 기자
"트럼프 재선 시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정상화 탄력"
미국은 중동 정세와 관련해 '아브라함 협정'을 큰 그림으로 그리고 있다. 아브라함 협정은 2020년 미국 중재로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등이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며 관계를 정상화 한 협정이다. 미국은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를 포함시킨 이스라엘·아랍 연합으로 이란에 대항하는 중동 정세를 구상한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사우디와의 양자 협정을 발판으로 삼아 아브라함 협정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성일광 고려대학교 중동이슬람센터 교수는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정부가 영원할 수는 없고 향후 중도 우파 성향의 정부가 들어선다면 팔레스타인 문제를 해결한다는 조건을 걸고 사우디에게 원하는 선물을 안겨줄 수 있다"며 "바이든도 여론 조사에서 불리한 입장이라 분위기 반전과 선거에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적극적으로 사우디와의 협정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아브라함 협정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정책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도 더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성 교수는 "트럼프는 아브라함 협정이 원래 자신의 외교정책이기 때문에 일부러 배격하거나 어깃장을 놓아 무산시킬 이유가 없다"며 "바이든이 하지 못한 자신의 외교 성과로 충분히 과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사우디 협정을 토대로 아브라함 협정을 추진할 동력을 얻게 된다"며 "만약 사우디와 이스라엘이 관계를 정상화하면 트럼프의 구상대로 이란은 중동지역에서 완전히 고립이 되는 상황이 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