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에 팔고 떠나라는 말 들었어야 하는데..[뉴욕마감]

머니투데이 뉴욕=박준식 특파원 2024.05.31 05:33
글자크기
5월에 팔고 떠나라는 말 들었어야 하는데..[뉴욕마감]


뉴욕증시가 주요 빅테크 기업의 실적쇼크와 미국 경제의 성장률 하락, 스테그 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키웠다. 세일즈포스는 분기 실적이 형편없다는 지적을 얻으면서 주가가 20년 만에 최대치인 20% 이상 하락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330.06(0.86%) 떨어진 38,111.48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도 31.47포인트(0.6%) 하락한 5,235.48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은 183.5포인트(1.08%) 내려 지수는 16,737.08에 마감했다.



미국 채권시장에서 국채발행 물량 일부가 소화되지 않으면서 한없이 쌓이고 있는 국가부채와 수급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이번주에 4.6%대로 다시 치솟았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이날 4.5%대로 다시 내려왔지만 증시에는 적잖은 부담이 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증시가 최근 하락세로 돌아서는 마당에 운용자금을 거의 무위험이라 볼 수 있는 국채로 운용하는 사실상 리스크 없이 4%대 중반의 수익을 얻을 수 있어서다.

벨웨더 웰스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클라크 벨린은 "소비자 지출 건전성과 금리 경로를 둘러싼 질문이 시장에서 방향성 없이 소용돌이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계속 불안정할 것"이라며 "최근 시장의 행태는 다시 나가기 전에 들이치는 파도와 같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여전히 시장에 좋은 기대감을 갖고 있다"며 "이 중 많은 부분이 모멘텀 투자인데 사실 그를 벗어나야 효과가 있다"고 일희일비 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미국 더 주저앉은 GDP...증폭되는 스테그 플레이션 우려
5월에 팔고 떠나라는 말 들었어야 하는데..[뉴욕마감]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가 기존 속보치 1.6%보다 0.3%p 낮은 1.3%로 집계됐다. 성장률이 1%대로 주저앉은 것도 충격이었는데 잠정치가 당초 계산보다 낮게 나오자 물가는 오르고 성장은 더딘 스테그 플레이션이 임박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미국 상무부는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이 1.3%를 기록해 속보치에 비해 하락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성장률을 분기 단위로 세차례 속보치, 잠정치, 확정치로 나눠 발표한다.

미국 경제는 지난해 하반기 깜짝 성장을 기록한 이후 해를 넘겨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정부가 뿌린 각종 보조금과 식료품 쿠폰, 상업활동 자금 등을 기반으로 억눌렸던 소비를 지난해 폭발시키며 고금리 상황에서도 의외의 성장 결과를 거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해를 넘겨서도 금리가 낮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물가는 더 오르는 가운데 가계 저축률이 바닥나면서 서민들의 호주머니가 텅비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GDP 성장률은 시계열 상으로 지난해 1분기 2.2%에서 2분기 2.1%로 다소 줄었다가 3분기에 4.9%로 깜짝 성장을 달성하면서 여름휴가 피크 시즌 덕을 봤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후 4분기에도 3.4%를 마크하면서 보복소비가 크리스마스 시즌까지는 이어지는 듯 했다.


그러나 올 1분기 지표가 1.3%에 머무르면서 성장률은 한 분기만에 반토막 이하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2분기를 한 달 밖에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날 성장률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중이다. 2분기에 성장률이 1% 이하로 내려갔는데 물가가 중앙은행이 목표로 하는 2%에 미치지 못하고 3%대 중후반에서 고공행진을 멈추지 않을 경우 정책당국이 쓸 카드가 마땅치 않아지는 것이다.

물가 재급등의 여지가 남아있는 한 금리인하 정책을 내세우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런 가운데 성장률이 저하돼 기업들의 실적이 급감하고 정리해고 등이 늘어날 경우 실업률은 치솟을 가능성이 높다. 정책당국이 그토록 우려하던 경기침체나 불황이 예상보다 1년 늦게 하반기부터 불어닥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마존 드론배송, 조종사 시야너머로 연방승인
미국 최대 온라인쇼핑몰 아마존닷컴은 제프 베저스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1일 드론(무인기)을 이용한 배달서비스 '프라임 에어'를 준비 중이라고 밝힌 다음날인 2일(현지시간)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프라임 에어'는 2.3㎏ 이내 소포에 한해 주문 후 30분 안에 배달 완료를 목표로 한다. 그러나 미국당국이 관련규정을 아직 마련하지 못한 데다 격추돚도난 위험과 기술적 한계 등으로 실제 상용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오른쪽 사진은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 위치한 아마존 배송센터.  /피닉스(미국) 궴=뉴스1(news1.k /사진=로이터미국 최대 온라인쇼핑몰 아마존닷컴은 제프 베저스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1일 드론(무인기)을 이용한 배달서비스 '프라임 에어'를 준비 중이라고 밝힌 다음날인 2일(현지시간)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프라임 에어'는 2.3㎏ 이내 소포에 한해 주문 후 30분 안에 배달 완료를 목표로 한다. 그러나 미국당국이 관련규정을 아직 마련하지 못한 데다 격추돚도난 위험과 기술적 한계 등으로 실제 상용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오른쪽 사진은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 위치한 아마존 배송센터. /피닉스(미국) 궴=뉴스1(news1.k /사진=로이터
아마존이 드론 배송에 관한 연방정부의 승인을 얻어 공중비행 배송서비스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고 밝혔다. 이날 아마존은 기존 드론 조종사가 시야 내에서 비행을 제어해야 한다던 배송조건을 연방항공국(FAA)가 관찰자 시야 너머의 범위로 일정부분 허용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아마존은 이와 같은 배송에 관한 테스트를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 등에서 확대할 예정이다.

연방정부는 그동안 배송중 사고 드론의 비행사고 등을 우려해 규제를 적용했지만 아마존은 비행충돌 방지기술을 개발해 공중 장애물을 감지하고 회피할 수 있는 기동을 확인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드로배송은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프라임 에어(Prime Air)'라는 이름을 붙여 미래 배송 전략을 무려 10여년 전부터 마련한 창립자 제프 베조스에 의해 진행돼 왔다. 하지만 이 전략은 배송 사고를 우려한 규제 당국의 여러 제한으로 쉽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아마존은 2022년 휴스턴에서 북서쪽 약 100마일 거리인 칼리지스테이션에서 테스트를 진행해왔다. 여기에 새크라멘토 남쪽 마을 인 록퍼드에서 드론 배송 테스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프라임 에어 사업부의 인원은 지난해 아마존의 광범위한 인력 감축 과정에서 많은 수가 해고되면서 상당히 줄어든 상태다. 지난달 아마존은 캘리포니아에서 드론 운영을 중단했지만 올해 말까지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배송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은 내년에는 이 프라임에어를 미국의 다른 도시로 추가 확장할 계획이다. 회사는 10년 안에 드론으로 연간 5억 개의 상품을 배송할 목표를 세웠다.

재주는 MS가 부리고, 돈은 엔비디아가 챙기네
(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열린 엔비디아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로봇 개발 플랫폼 ‘프로젝트 그루트’를 소개하고 있다. 2024.03.18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C) /사진=(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열린 엔비디아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로봇 개발 플랫폼 ‘프로젝트 그루트’를 소개하고 있다. 2024.03.18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C) /사진=(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시가총액이 3조 달러를 향해가는 AI(인공지능) 대장주 엔비디아를 먹여살리는 빅테크가 마이크로소프트(MS)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MS가 챗GPT 등을 직간접적으로 개발하고 애저(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급격히 키우면서 엔비디아 칩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구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 UBS는 최근 리포트에서 엔비디아의 보고서 등을 자세히 조사한 결과 MS가 그들의 가장 큰 고객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보고서에서 두 곳의 직간접적인 고객이 올해 1분기 회계연도 매출의 10% 이상을 차지했다고 두루뭉술하게 밝혔다. UBS는 이에 대해 둘 중 하나는 분명히 MS라고 지목한 것이다. 물론 MS는 사실확인을 해주지 않았다.

엔비디아의 최근 1분기 매출은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과 MS, 메타 등 빅테크들이 AI 개발을 서두르면서 전년비 두 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아마존과 MS의 사실상 자회사인 오픈AI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상품화하기 위해 엔비디아 칩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젠슨 황이 이끄는 엔비디아는 올해 주가가 130%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3조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달 초 MS는 배터리 수명을 크게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윈도우 시스템 하에서 AI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ARM 기반의 퀄컴(Qualcomm) 칩을 갖춘 새 컴퓨터를 내놓기로 했다고 밝혔다. 빅테크들은 현재 엔비디아에 크게 기대고 있지만 최소한 B2C 상품에서는 그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