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 광산, 중국은 1992개 갖고 있는데…한국은 36개뿐

머니투데이 유선일 기자 2024.05.28 17:27
글자크기
한국 및 일본 기업의 핵심광물 귀속 생산량 비중/사진=한국경제인협회한국 및 일본 기업의 핵심광물 귀속 생산량 비중/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광물 광산 수가 중국·미국·일본 대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의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핵심광물(동, 아연, 납, 철광석, 니켈, 리튬, 코발트 등 7종) 광산 수는 36개로 중국(1992개), 미국(1976개), 일본(134개)에 비해 크게 적었다.



같은 기간 한국 기업의 핵심광물 귀속 생산량(광산 총생산량 × 지분율) 비중은 7종 모두 세계 총합의 1% 이하였다. 반면 일본 기업은 △동 4.1% △아연 3.0% △납 2.8% △철광석 3.0% △니켈 1.7% △코발트 2.0% 등으로 한국보다 비중이 컸다.

한국은 니켈·리튬·코발트 등 4차산업 핵심광물 수입이 특정 국가에 편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황산니켈은 핀란드로부터 수입 비중이 68.2%에 달했다. '산화리튬·수산화리튬'과 '산화코발트·수산화코발트'의 중국 수입 비중은 각각 87.9%, 72.8%다.



한경협은 국가 전략 관점에서 해외 광산 지분을 늘리고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인 대안으로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 강화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 △자원 확보 콘트롤타워로 기능할 수 있는 민관 컨소시엄 조성 등을 주문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