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 '골드시티' 활성화 조건은?…"참여주체간 협력체계 구축"

머니투데이 이민하 기자 2024.05.27 13:59
글자크기

SH공사-한국도시부동산학회, '골드시티 추진 활성화를 위한 노력' 주제 토론회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이달 25일 사단법인 한국도시부동산학회와 '골드시티 추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이달 25일 사단법인 한국도시부동산학회와 '골드시티 추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사단법인 한국도시부동산학회와 '골드시티 추진 활성화를 위한 노력' 토론회를 열고 골드시티 추진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고 27일 밝혔다.

골드시티는 인생 2막을 여유롭게 살고 싶은 서울시민을 위해 자연과 도시 인프라를 갖춘 지방 도시에 백년주택과 관광, 휴양, 요양, 의료, 교육시설 등을 조성해 이주를 지원하는 '서울 지방 상생형 순환주택사업'이다.



이달 25일 열린 이번 토론회는 전환기 도시계획의 도전과 역할을 주제로 열린 '한국도시부동산학회 2024 춘계학술대회'의 부대행사로 마련됐다. SH공사는 학술대회에서 별도 기관세션으로 토론회를 열고, 골드시티 사업에 대한 전문가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회에서는 성진욱 SH도시연구원 책임연구원과 문준경 LH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 등 전문가들이 발제를 진행했다. 성 책임연구원은 '서울시민의 지방이주 의향 및 특성'이라는 발제에서 골드시티 기본방향에 따른 서울시민의 인식파악과 이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서울시민들은 막연한 지방이주보다는 주거와 일자리 등이 모두 갖춰진 골드시티 이주를 더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울에 비해 부담가능한 수준의 주택가격이 골드시티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매력적인 요소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문 수석연구원은 '수도권 인구 유입 활성화를 위한 지역활력타운 조성전략'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사업시행자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제도 검토 및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또 김주영 강원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한 토론회에는 김예성 김앤장법률사무소 전문위원, 박동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이창효 한밭대학교 교수 등 전문가들이 패널로 나서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등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서울 과밀인구의 재배치를 통한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골드시티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참여주체 간 협력체계 구축 및 실행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