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어디에 돈 쓰세요?"…고령층·저소득층이 고물가 손해 더 봤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2024.05.27 12:00
글자크기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사진=뉴시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사진=뉴시스


2021년 이후 가파르게 이어진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소비증가율이 약 5%포인트(p) 낮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물가 상승의 영향은 음식료품과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았던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고물가와 소비: 가계의 소비바스켓과 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최근까지의 누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12.8%(연율 3.8%)로 2010년대 평균(연율 1.4%)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와 소비 흐름을 살펴보면 공급요인의 영향이 큰 재화소비를 중심으로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둔화가 뚜렷했다. 물가상승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축소시키는 경로와 자산·부채의 실질가치를 하락시키는 경로로 민간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영향의 정도는 가계의 소비품목 구성(소비바스켓)과 재무상황에 따라 상이했다.

한은이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은 2021~2022년 누적으로 실질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소비증가율을 약 4%포인트(p) 낮췄다.



이에 더해 가계별 금융자산·부채의 실질가치 변동에 따른 효과도 같은 기간 소비를 1%p 내외로 위축시켰다. 물가상승으로 부채부담이 줄어든 가계의 소비개선보다 자산가치가 훼손된 가계의 소비위축이 더 컸다는 설명이다.

연령대별, 소득분위별 실효 물가상승률/그래프=한국은행 연령대별, 소득분위별 실효 물가상승률/그래프=한국은행
가계의 소비지출 품목은 연령·소득수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예컨대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식료품이나 에너지 등을 많이 소비하는 가계일수록 실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높고 물가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가계 소비품목의 차이를 고려한 실효 물가상승률은 필수재 비중이 큰 고령층(16%)과 저소득층(15.5%)에서 높게 나타났다. 청장년층(14.3%)과 고소득층(14.2%)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덜했다. 다만 취약층의 물가 영향은 공적이전소득이 늘어나면서 상당폭 완화됐다.

가계별 자산 규모로 따져보면 금융자산을 부채에 비해 많이 보유한 고령층에서 물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청년층은 생애주기상 부채를 많이 보유하는 연령층임에도 불구하고 전세보증금 실질가치가 하락한 영향으로 물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물가가 오르면 가계 금융자산과 부채의 실질가치가 모두 하락한다. 이에 한은은 순금융자산(금융자산-부채·NNP)이 0보다 크면 자산의 실질가치 하락으로 손해를 보고, 0보다 작으면 부채의 실질가치 하락으로 이익을 봤다고 분석했다.

다만 물가상승과 이에 대응한 금리상승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본다면 많은 가계에서 금리상승이 물가상승의 영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작동했다. 물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컸던 고령층은 전반적으로 물가상승의 손해를 보는 대신 금리상승으로 이득을 봤다는 분석이다.

반대로 주택담보대출 등을 많이 보유한 저연령층 자가거주자는 물가상승에 따른 부채가치 하락의 이득을 봤지만 금리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 효과가 상쇄됐다. 한편으로는 부채와 전세보증금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물가와 금리에서 모두 손해를 입거나 양측면 모두에서 이득을 보는 계층도 있었다.

정동재 한은 조사국 거시분석팀 과장은 "중장년층은 평균적으로 물가상승으로 이득을 본 계층이고 고령층이 부정적 영향이 컸다"며 "물가상승의 영향이 특히 높았던 가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의 증가,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소득의 증가 등이 물가의 영향을 다소 완화시켰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물가 오름세가 둔화되면서 가계소비가 위축되는 효과도 약화될 것"이라며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구매력을 전반적으로 약화시킬 뿐아니라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부정적인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물가상승 및 금리상승 영향 : 가계 연령 및 주거형태별/그래프=한국은행물가상승 및 금리상승 영향 : 가계 연령 및 주거형태별/그래프=한국은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