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개청 따른 연구개발 분야 조직개편

머니투데이 김승한 기자 2024.05.26 12:00
글자크기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개청 따른 연구개발 분야 조직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우주 정책·사업 및 관련 조직이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대대적인 조직 정비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7일 우주청 개청에 맞춰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을 시행한다. 우선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분야별(종적) 조직으로 정비한다. 첨단바이오를 비롯해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소재 등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라는 부서 임무를 명확히 하고, 다양성·수월성 기반의 기초연구와의 연계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주 정책 및 사업을 담당하던 2개 과가 우주청으로 이관되는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기술 분야 간 융합과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임무지향형(횡적) 조직으로 개편된다. 국(관)의 명칭을 공공융합연구정책관으로 변경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국방·치안·복지·안전 등)을 위한 전담부서를 신설(공공융합기술정책과)한다.

또 핵융합·청정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더욱 빈번해지는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도 신설된다.



더불어 초거대 AI(인공지능) 활용·확산에 따른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을 위한 원자력연구개발 전담부서도 확대 개편된다.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혁신형 원자력 기술개발과 우수한 국내 원자력 기술의 해외 진출도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속기를 비롯한 대형연구시설의 운영 및 활용을 고도화하고, 대형연구시설이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도 신설될 예정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조직개편이 하드웨어적인 조직 정비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도약, 국민 삶의 질 제고의 임무 완수를 위한 부처 내·외 협업 활성화, 현장 중심의 일하는 방식 혁신 등 소프트웨어적인 혁신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