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보르기니 아·태 총괄 "2028년 첫 전기차 출시, 주행감성 고수"

머니투데이 김도균 기자 2024.05.24 17:50
글자크기
24일 낮 12시쯤 경기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이 전동화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사진=김도균 기자24일 낮 12시쯤 경기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이 전동화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사진=김도균 기자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이하 람보르기니)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책임자가 "전기차에 기존 내연기관차 소리를 복제하는 건 절대 하지 않겠다"고 했다.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은 24일 오후 경기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2028년에 첫 전기차를 출시한다는 전략에 변경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전기차에서 최초가 아닌 최고의 차량을 선보이는 것이 람보르기니의 목표"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해 람보르기니만의 DNA를 유지하며 전동화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람보르기니는 2030년 이전까지 전기 스포츠카를 출시하고 2030년에는 슈퍼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우루스의 전기차 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다.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전동화 전환 후에도 람보르기니 특유의 주행 감성은 고수하겠다고 했다. 그는 "전동화 시대에 가속력은 어느 정도 (상향)평준화되고 있다"며 "차이를 낼 수 있는 부분은 핸들링 등 횡적인 가속이다. 람보르기니는 내연 기관 차량에서 제공한 운동 성능을 전기차 분야에서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전통의 스포츠카에 친환경 합성 연료를 사용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개발하고 있는 단계"라며 "고객이 람보르기니에 원하는 감성, 토크 분배 등을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그러면서



람보르기니 우라칸 테크니카./사진=김도균 기자람보르기니 우라칸 테크니카./사진=김도균 기자
람보르기니는 주행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체 경량화 기술을 개발해왔다. 하지만 전기차로 전환하면 200㎏ 안팎 나가는 배터리가 추가돼야 한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배터리 무게를 상쇄하기 위해 차체에 카본 섬유를 적극 사용하는 등 배터리 외 부품에서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며 "차체의 무게 중심에 배터리를 어떻게 배치할지도 연구하고 있는 영역"이라고 밝혔다.

람보르기니는 지난해 본국 이탈리아에서보다 한국 판매량이 많았는데 이를 두고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전형적인 람보르기니의 직선형 디자인을 한국 고객이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레이스트랙 시승행사, 슈퍼 트로페오 이벤트 초청, 잠재 고객들을 발굴할 수 있는 탄탄한 딜러망 등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지난 1월부터 고가 법인차에 연두색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것과 관련,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올해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다소 저조했지만 홍해 사태 등 물류 혼잡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 원인이었다"며 "주문량은 매우 긍정적이기 때문에 견조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통계에 따르면 지난 1~4월 람보르기니 법인 판매량은 9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7.4% 증가했다. 전체 수입차 법인 판매가 같은 기간 16.2%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