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학원 등 '소규모 공중이용시설'에도 장애인 출입구 설치해야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2024.05.24 13:13
글자크기
 2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응급의료팀이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2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응급의료팀이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앞으로 동네 의원과 한의원, 학원 등 소규모 공중이용시설에도 장애인 출입구 등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이 설치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의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 소규모 공중이용시설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 설치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에 따라 의원, 산후조리원, 지역아동센터 등의 소규모 시설은 물론 학원, 독서실 등 근린생활시설에 대한 편의시설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편의시설 설치 의무 면적 기준을 단계적으로 삭제하고 설치해야 하는 건축물의 용도를 추가해 나간다. 기존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에서 제외되어 있던 소규모 시설(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산후조리원, 지역아동센터, 공연장, 안마시술소)의 면적 기준을 폐지해 모든 시설이 편의시설을 의무 설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소방서, 방송국, 침술원, 접골원, 장의사, 동물병원, 동물미용실, 동물위탁관리업, 학원, 교습소, 직원훈련소, 독서실, 기원을 추가해 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의 폭을 확대한다.



복지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관련 의견은 다음 달 13일까지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로 제출하면 된다.

개정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