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배구 2군 도입, 연간 10억 원 드는데..." 현실적 문제 확실, 완전한 정답은 없다→"제도적 장치 필요" [춘천 현장]

스타뉴스 춘천=박건도 기자 2024.05.24 07:37
글자크기
2024 KOVO 통합 워크샵 중 진행된 2부리그 운영 토론.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2024 KOVO 통합 워크샵 중 진행된 2부리그 운영 토론.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이상만 좇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한국 배구계는 효율적인 질적 발전에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23일 강원도 춘천의 엘리시안 강촌에서 KOVO 통합 워크샵을 개최했다. 워크샵 오후 행사 중 프로배구 현직 감독, 업계 종사자들이 한데 모여 KOVO 2군리그 도입에 대해 토론했다.

2004년에 설립한 KOVO는 어느덧 20주년을 맞았다. 지난 2016년에는 KOVO의 미래를 위한 핵심 성장 요건과 함께 해결책도 내놨다. 그중 선수 질적 성장과 배구단 운영 철칙의 핵심이 될만한 2부리그 운영에 대한 논의는 꽤 오랜 기간 이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2군리그 도입은 찬성하는 입장이다. 다만 실효성과 효율성, 도입 시기가 최대 과제로 손꼽혔다. 김호철(69) IBK기업은행 감독은 "(2군리그 도입)좋다고 생각하지만, 문제도 있을 것이다"라고 조심스럽게 입을 떼면서도 "한국 현장에서는 선수 20명으로 훈련한다. 시즌이 시작되면 비주전 선수들이 뛸 기회가 많이 없다. 외국 같은 경우 1~4부 리그가 있다. 수준이 맞는 선수끼리 경기를 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프로배구의 2군리그 도입은 연맹 내외부에서 논의된 지 오래다. 이세호 경기대학교 교수는 "10년 전 프로배구 비전 선포식을 했다. 2군리그 도입 계획은 되어 있다"라며 "2020년에는 2군 리그 출범과 함께 선수단 육성도 약속했다. 산업 성장을 위해서라도 필요하다. 10년 뒤에는 한국 선수들이 없어 외국인 선수 세 명이 동시에 뛰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본다"라고 말했다.



프로배구 2군리그 도입 토론 중.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프로배구 2군리그 도입 토론 중.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2군리그 도입 토론 중인 배구계 및 미디어 관계자들.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2군리그 도입 토론 중인 배구계 및 미디어 관계자들.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선수 육성 측면에서는 2군리그 제도가 필요하다고는 하나, 구단 입장에서는 비용이라는 현실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구단을 대표한 변우덕 우리카드 사무국장은 "2군리그를 운영하려면 구단당 연간 10억 정도 든다"라며 "남자부는 샐러리캡(연봉 총액 상한 제도)이 51.8억 원이다. 경기 수나 인기, 프로야구에 비하면 인건비가 과도한 수준이다. 2군리그까지 추가하면 구단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라고 알렸다.

효율적 운영에 대해 이탈리아에서 선수와 사령탑으로도 활동한 김호철 감독은 "유럽은 한국과 다르다. 스폰서를 얻어오는 만큼 목표를 둔다. 외국 감독할 때 예산에 대한 목표치가 미리 나오더라. 지도하기도 편하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변우덕 사무국장도 "20년째 프로리그 하면서 '우승만 보고 운영한다'라는 생각을 많이 받는다. 선수들 연봉이 높아진 이유기도 하다"라며 "체계적인 리그는 그러지 않는다. 가치관이 다양하다. 하지만 한국은 그 정도 가치관은 정립하지 못했다. 2군 리그나 샐러리캡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는 이유인 것 같다. 이런 고민을 나눠야 해법이 나오지 않을까"라고 의견을 내비쳤다.


하지만 당장 최고의 성적을 내야 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매년 모기업에서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기에 더욱 그렇다. 이에 이헌우 경기운영팀장은 "미국프로농구(NBA)도 모든 팀이 2군 운영을 하지는 않는다"라면서 "리그에서 두 팀이라도 제대로 2군리그를 운영하게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내년에라도 2군리그를 치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다짐했다.

발언하는 이세호(오른쪽) 교수.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발언하는 이세호(오른쪽) 교수. /사진=한국배구연맹(KOVO) 제공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