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영농부산물 파쇄 늘려 '소각산불' 크게 줄였다.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2024.05.23 14:57
글자크기

영농부산물 파쇄 전년比 8배 이상 ↑… 소각산불 발생건수 10년 평균치 대비 29%↓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 등 범부처 협업 성과

영농부산물 파쇄로 소각산불을 줄이는 효과를 봤다. /사진제공=산림청영농부산물 파쇄로 소각산불을 줄이는 효과를 봤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이 범부처 협업으로 영농부산물 파쇄·수거를 늘려 올해 봄철 소각산불을 크게 줄이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영농부산물을 지난해 대비 8배 이상 늘린 11만7000t을 파쇄해 소각산불 발생건수를 지난 10년 평균치 대비 29%가량 줄였다고 23일 밝혔다.

산림청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봄철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은 최근 10년간 한해 평균 116건이 발생했다. 올해는 33건으로 크게 줄어 효과를 실감할 수 있었다.



산불발생의 주요원인인 소각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피해규모도 크지만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는 과정에서 인명피해 위험성이 높다. 최근 5년 동안 소각산불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다 4명이 사망했고 11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은 영농부산물 불법소각 등으로 인한 산불 및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 2월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농촌진흥청 등과 협의회를 구성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파쇄기 662대를 보급했고 산림청은 산불인력 1만여명으로 파쇄를 지원했다. 농촌진흥청은 139개 시군에서 파쇄팀을 운영하는 등 산불예방을 위해 범부처 협업을 통한 총력대응에 나섰다.

앞으로 산림청은 마을회관을 순회하며 영농부산물 파쇄시연 및 불법소각 근절 계도 활동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불법소각 과태료를 상향하는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해 보다 강력히 처벌할 방침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범부처 협업을 통한 영농부산물 파쇄·수거 확대로 불법소각으로 인한 올 봄철 산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며 "가을철 산불예방을 위해서도 산림청-농촌진흥청-지방자치단체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