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망할까 걱정" 토로한 서울의대 교수…"의사 수 추계 연구하겠다"

머니투데이 정심교 기자 2024.05.21 16:52
글자크기

(상보)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1. bluesoda@newsis.com /사진=김진아[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1. [email protected] /사진=김진아


서울대 의대,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우리나라에 필요한 의사 수를 연구할 테니 2026학년 이후 의대 정원분에 참고해 반영해달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또 이 연구를 위해 정부가 '최신 자료'를 성실히 제공해달라고도 주문했다.

21일 오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3기 비상대책위원회가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연 긴급 기자회견에서 강희경(서울대어린이병원 교수) 3기 비상대책위원장은 이같이 언급하며, '의사 수 추계 연구'에 참여할 연구자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강 비대위원장은 "국민이 원하는 의료 개혁 시나리오를 반영한 필요 의사 수 추계 연구를 시작하려 한다"며 "오늘 기자회견을 통해 의사 수 추계 연구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연구자들의 협조를 구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 14일 개최한 공청회를 통해 △지금보다 환자 중심성, 효율성이 높아진 의료서비스 △지금보다 지역 격차가 줄어든 의료서비스 △필수의료 전공 의사들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해 필수의료 이용에 어려움이 없는 의료시스템을 국민이 바라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강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추구하는 의료시스템도 이와 같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그간 의료계에서, 서울대 의대에서 이러한 올바른 의료체계에 대한 연구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다시 한번 반성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의사 수 추계 연구를 위해 필요한 최신 자료를 성실히 제공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며 "보통 국회의원이 정부에 자료를 요청하면 1~2주 이내에 회신받는다고 한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등의 국가기관 담당자들이 수고스럽겠지만 과학적인 의사 수 추계 연구를 위해 우리가 요청하는 최신 자료를 1~2주 이내에 성실히 회신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 기자회견에서 한 의료진이 발언을 듣고 있다. 2024.05.21. bluesoda@newsis.com /사진=김진아[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의사 수 추계 연구' 관련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 기자회견에서 한 의료진이 발언을 듣고 있다. 2024.05.21. [email protected] /사진=김진아
비대위는 6월 중순경 필요한 데이터를 받고, 6월 말께 의사 수 추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2~3개월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렇게 나온 연구 결과들 가운데 공인된 학술지에 실렸는지를 심사 기준으로 본다는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의대 정원 규모에 대해 논의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강 비대위원장은 "지금이라도 이런 연구를 시작하지 않으면 2026학년 의대 정원 분에 대해 내년에 정부와 논의할 때 의료계가 낼 방안이 아직 없다"며 "사실 이번에 시작하는 연구가 2026학년도부터 당장 반영되기는 무리겠지만 미래 의료 시스템을 위해 합의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부터 2000명을 늘리면 한국이 망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의대 정원을 늘리거나 줄이려면 그만큼의 시설과 교수진이 필요한데 각 대학이 준비할 시간을 정부가 줘야 한다"며 "건강보험 재정이 빠르게 고갈되는 상황에서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려야 한다'는 정부의 베이스(근거 자료)를 보니 우리나라가 망할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이번 연구엔 대학병원에서 전공의의 업무를 대신 보는 교수들은 참여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강 비대위원장은 "이미 임상 현장에 있는 의대 교수들은 순직할 지경이어서 이번 연구엔 진료 보는 교수보다는 의료 정책이나 통계에 능통한 전문가, 현장에 돌아오지 못한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연구에 참여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