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푸어들의 차" 오명까지…드라마서 확 뜬 '럭셔리카'가 어쩌다

머니투데이 임찬영 기자 2024.05.25 06:00
글자크기

마세라티 4달간 77대 판매 그쳐
한국법인 설립, 분위기 반전 모색

마세라티 뉴 기블리 하이브리드/사진= 마세라티 제공마세라티 뉴 기블리 하이브리드/사진= 마세라티 제공


삼지창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마세라티의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 이렇다 할 신차를 내놓지 않은 데다가 엔트리급으로 내놓았던 기블리의 성공이 오히려 발목을 잡았다. 마세라티는 올해 한국 법인을 직접 설립하는 등 반전을 노리는 모양새지만 오랫동안 자리 잡은 마세라티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2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4월 마세라티의 국내 판매량은 77대로 4개월간 100대도 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16대, 2월 16대, 3월 22대, 4월 23대 등 판매량이 늘고 있긴 하지만 매달 20대 안팎의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전체 판매량도 434대에 불과했다.



이는 마세라티가 내놓은 신차들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데다가 '기블리'의 성공 신화가 오히려 마세라티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기블리는 마세라티가 1억원 초·중반대에 구매할 수 있는 엔트리급 모델로 2013년 내놓은 차량으로 당시 유명 드라마에 등장하며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다.

기블리는 2014년 마세라티 한국 판매량의 7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던 차량이지만 판매량이 점차 하락해 지난해 39대에 그쳤다. 특히 올해는 1~4월 4개월간 하이브리드 모델 단 한 대밖에 판매되지 않았다. 중고차 시장에서 감가를 크게 받은 탓에 '카푸어'들의 차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영향이다.



마세라티도 2016년 SUV '르반떼', 2022년 스포츠카 'MC20', 중형 SUV '그레칼레' 등 신차를 출시하긴 했지만, 분위기를 바꾸는 데에는 실패했다. 그레칼레가 그나마 선전하고 있긴 하지만 지난해 판매량이 238대에 그쳤고 올해 1~4월도 69대에 불과한 상황이다.

마세라티는 오는 7월 1일 한국 법인 '마세라티코리아'를 설립하며 분위기 반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기존에 국내 운영·판매를 맡았던 포르자모터스코리아(FMK)는 딜러사로서 서울과 분당 등 네트워크를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모회사인 스텔란티스코리아에서 재무 등 마세라티 관련 업무를 담당할 직원도 뽑고 있다.

마세라티코리아는 출범과 함께 그란투리스모·그란카브리오의 가솔린 모델을 국내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그란투리스모는 마세라티 대표 2도어 쿠페 스포츠카로 지난해 2세대 모델이 공개됐다. 그란카브리오는 그란투리스모의 컨버터블 버전이다. 그레칼레·그란투리스모·그란카브리오의 전기차 트림인 '폴고레'도 연내 출시할 전망이다. 마세라티는 2028년까지 모든 차종을 전동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마세라티 판매량 감소에 가장 큰 원인은 결국 럭셔리 브랜드 이미지를 지키지 못한 게 가장 컸다"며 "국내 법인을 설립한다고 해서 곧바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더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하루빨리 부진에서 벗어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