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정상·빅테크 대표, 한국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AI 논한다

머니투데이 배한님 기자 2024.05.17 10:59
글자크기

21~22일 'AI 서울 정상회의' 및 'AI 글로벌 포럼' 개최

AI 서울 정상회의 로고. /사진=AI 서울 정상회의 홈페이지 갈무리AI 서울 정상회의 로고. /사진=AI 서울 정상회의 홈페이지 갈무리


챗GPT의 등장으로 AI(인공지능)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AI를 위해 전 세계 정상이 만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오는 21일과 22일 양일간 서울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과 영국 양국이 공동 주최하는 'AI 서울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처음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에 이은 두 번째 글로벌 AI 안전성 관련 회의다.

정상회의는 △정상세션 △장관세션으로 구성된다. 정상세션은 오는 21일 오후 8시30분부터 10시까지 90분간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된다. 'AI 안전성 정상회의를 토대로, 혁신적으로 포용적인 미래로'를 주제로 마련된 정상세션은 한국과 영국 양국 정상이 회의를 공동 주재한다. 지난해 영국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가 'AI 위기 대응'에 집중했다면,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는 AI 안전을 넘어 혁신·포용 방안까지 국제사회에 제시할 계획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는 뉴욕 구상(2022년9월)·파리 이니셔티브(2023년6월)·디지털 권리장전(2023년9월) 등을 통해 펼쳐왔던 우리 AI·디지털 비전을 글로벌 이니셔티브와 규범으로서 정립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장관 세션'은 오는 22일 오후 2시20분부터 5시40분까지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대면으로 개최된다. 장관 세션은 주제는 △AI 안전성 확립 역량 강화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 두 가지 세션으로 진행한다. 장관 세션은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영국 과학혁신기술부의 미셸 더넬란 장관이 공동 의장을 맡는다. 장관 세션에는 19개국 이상 정부·산업계·학계 및 시민사회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한다.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배한님 기자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배한님 기자
'AI 안전성 확립 역량 강화' 세션에서는 주요국의 'AI 안전 연구소' 설립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아울러 지난해 영국 회의의 후속 조치로 마련된 'AI 안전 국제 과학 보고서'를 토대로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AI 위험 요인을 진단하고 안전성 강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 세션에서는 에너지·환경·일자리 등 AI가 초래하는 부작용에 대해 회복 탄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이는 AI 개발·운영 확대에 따른 막대한 전력 소모에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저전력 반도체 등 우리나라의 AI·반도체 비전을 중심으로 새로운 글로벌 아젠다를 마련할 예정이다.

정상회의에 이어 마련된 'AI 글로벌 포럼'은 우리 정부가 단독으로 주최하는 행사다. 윤석열 대통령이 UN(국제연합) 총회·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에서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제안한 행사다. 오는 22일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는 포럼은 오전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과 오후 '전문가 세션'으로 구성됐다. 오후 전문가 세션은 국민들이 청취할 수 있도록 유튜브 생중계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의 아젠다와 참석자는 공식 웹사이트 공개돼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