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HL만도, 자율주행 주차 로봇 고도화 MOU 체결

머니투데이 이정현 기자 2024.05.16 11:45
글자크기
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오른쪽)가 HL만도 조성현 부회장(왼쪽)과 업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오른쪽)가 HL만도 조성현 부회장(왼쪽)과 업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와 HL만도는 지난 13일 판교 넥스트 엠에서 '자율주행 주차 로봇 서비스 사업화 MOU(업무협약)'를 체결하고 자율주행 주차 로봇의 개발과 서비스 실증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사는 HL만도의 자율주행 주차 로봇 '파키'를 기반으로 로봇 발레파킹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를 개발하고, 신규 시장 발굴에 나선다.



HL만도는 '파키'의 상용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을 담당한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주차장 운영 및 솔루션 전문 자회사 케이엠파킹앤스페이스는 △주차장 내 자율주행 구현에 필요한 디지털트윈 구축과 △자율주행 주차 로봇이 접목된 스마트 주차장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카카오 T 플랫폼 연계 서비스 개발을 맡는다.

양사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디지털 트윈 구축 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신규 서비스 개발과 실증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주차장 연계 서비스의 경우 운영 중인 실제 주차장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테스트를 수행하기가 어렵다 보니 기술 실증에도 물리적인 제약이 많았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로봇 친화적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기존 건물이나 해외에 있는 건물 등 직접 방문이 어려운 현장에 대해서도 사전에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해 볼 수 있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HL만도의 '파키'에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카카오내비 플랫폼과 디지털트윈 기술, 주차장 운영 역량이 결합됨에 따라 주차 로봇에 모빌리티 서비스를 결합한 다양한 혁신 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주차장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인프라"라며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상용화와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