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스식 기습' 북한 침투 대비…전투기 뜨고 미사일로 '쾅쾅'[영상]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2024.05.14 19:52
글자크기

[the300] 북한의 드론·미사일 '섞어 쏘기' 대응한 육해공 합동훈련

공군이 14일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 대응 합동훈련'을 앞두고 전날 자체 훈련을 실시한 모습. F-15K, F-35A, KF-16 등이 편대 비행을 하고 있다. / 영상=공군공군이 14일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 대응 합동훈련'을 앞두고 전날 자체 훈련을 실시한 모습. F-15K, F-35A, KF-16 등이 편대 비행을 하고 있다. / 영상=공군
우리 군이 북한의 드론·미사일 '섞어 쏘기' 등에 대비한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한 방식으로 북한이 한국을 공격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 훈련이다.

14일 군 당국에 따르면 공군작전사령부는 이날 적의 대규모 공중 항체가 동시·복합적으로 영공을 침투하는 가상상황을 대비해 공중·지상·해상의 전력이 통합 대응하는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대응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공군은 공중·지상·해상의 방공전력이 통합 대응하는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대응 합동훈련’을 앞두고 공군 자체 훈련을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공군 전투기들이 사전 훈련에서 편대비행을 하고 있다. / 사진=공군공군은 공중·지상·해상의 방공전력이 통합 대응하는 ‘적 대규모 공중항체 침투대응 합동훈련’을 앞두고 공군 자체 훈련을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공군 전투기들이 사전 훈련에서 편대비행을 하고 있다. / 사진=공군


공중항체는 유·무인 항공기를 비롯해 순항·탄도미사일 등 공중도발이 가능한 모든 비행체를 뜻한다. 이번 훈련에선 800여개에 달하는 실제·모의 항적으로 북한 공중항체를 모사했다. 특히 하마스식 기습공격, 이란-이스라엘 간 공중폭격 등 최근 공중도발 사례들을 반영해 훈련이 진행됐다.

이번 훈련은 공작사를 비롯해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해군 작전사령부,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해병대 서북도서 방위사령부가 참여했다. 특히 공중항체 침투에 대비해 F-35A, F-15K, KF-16 등 전투기 30여대와 패트리어트, 천궁을 비롯해 이지스함(세종대왕함), 벌컨, 비호, 천마 등 각군 방공전력들이 담당 구역에서 고도별로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훈련을 진행했다.



해군이 지난 10일 동해상에서 실시한 합동 전투탄 실사격 훈련에서 적 지상 도발 세력을 타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훈련한 모습. / 영상=해군해군이 지난 10일 동해상에서 실시한 합동 전투탄 실사격 훈련에서 적 지상 도발 세력을 타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훈련한 모습. / 영상=해군
김형수 공작사 사령관(중장)은 "최근 전쟁 양상에서 보듯 적의 대규모 공중도발 시 초기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전쟁의 성패가 결정된다"며 "적의 도발을 초전에 무력화하고 즉각·강력히·끝까지 응징할 수 있도록 이번 훈련을 계기로 공군 전력을 비롯한 합동전력의 통합 운영능력을 한층 발전시켜 나가자"고 밝혔다.

앞서 육·해·공군은 지난 10일 동해 해상에서 합동 해상 전투탄 실사격 훈련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당시 국내기술로 개발한 해상 유도무기인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 '해궁', 전술함대지유도탄 '해룡', 함대함유도탄 '해성-Ⅰ'이 실사격 훈련에서 목표를 정확히 타격하며 국산 유도무기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해군이 지난 10일 동해상에서 실시한 합동 전투탄 실사격 훈련에서 적 지상 도발 세력을 타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훈련한 모습. / 영상=해군해군이 지난 10일 동해상에서 실시한 합동 전투탄 실사격 훈련에서 적 지상 도발 세력을 타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훈련한 모습. / 영상=해군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