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2027년까지 국산 mRNA 백신 개발…미래 팬데믹 대비"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2024.05.13 16:34
글자크기

백신 주권 확보방안 민·관 협력 논의…개발사 의견 청취 등 방안 구체화

국산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 사업 전략(안) /자료=질병관리청국산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 사업 전략(안) /자료=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미래 팬데믹 대비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에 대해 제약업계와 논의하기 위해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 중구 소재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제약 업계 CEO 및 담당자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질병청이 2027년까지 mRNA백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기업별 백신 개발 추진 현황 및 애로사항 등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질병청은 지난해 12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수립해 다음 팬데믹을 준비하고 있다. 민·관이 협력해 다음 팬데믹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에 대한 백신의 시제품과 mRNA 등 신속 백신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우선순위 감염병을 선정(백신 9종)한 상태다. 우선순위 감염병은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니파 △라싸 △뎅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치쿤구니아 △신증후군유행성출혈열(한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이다.



정부는 신변종 감염병 mRNA백신사업단을 운영(2021~2023년)해 mRNA 구조체 및 전달체 기술 등 핵심 요소기술 개발과 임상시험 진입을 위해 (비)임상 과제를 지원한 바 있다. 이어 질병청은 지난달 mRNA 백신 국산화를 위한 '미래 팬데믹 대비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을 마련해 관계부처와 국산 mRNA백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재정 및 행정 지원을 통해 민·관이 협력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국산 코로나19 mRNA백신을 '27년까지 개발할 계획으로 개발기업 및 관련 기관과 소통 및 협의해 세부 지원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이번 간담회가 개발 과정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해 수요자 중심의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중이다. 앞으로도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백신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관련 개발 기업과 협회 등과 협력해 mRNA백신이 신속히 국내에서 개발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mRNA 등 백신 핵심 기술은 신종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략기술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며 "국내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백신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세계 수출시장도 개척해 국가 경제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