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이달 26~27일 서울서 정상회담 최종 조율"-닛케이

머니투데이 김희정 기자 2024.05.08 10:17
글자크기
지난해 11월 17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에서 열린 한일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해 11월 17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에서 열린 한일 스타트업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일·중 3국이 오는 26~27일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열기 위해 최종 조율 중이다. 실현되면 2019년 12월 중국에서 개최한 이래 4년 반 만에 열리는 것이다.

7일 닛케이(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중국 리창 총리가 참석하는 3국 정상회담이 이달 26~27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일본 외무성에 따르면 회담 기간 중 한일 양국 간 정상회담도 열릴 전망이다.



한·일·중 정상회담은 연 1회 개최가 원칙이나 그간 한·일 관계 악화와 코로나19의 감염 확대로 여의치 않았다. 그러다 기시다 총리와 윤 대통령이 지난해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고 동북아 지역 안정에 3개국 협력이 필수적이란 인식이 짙어지며 다시 재개됐다.

리창 중국 총리가 지난달 7일(현지시간) 베이징 인민 대회당에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다. /로이터=뉴스1리창 중국 총리가 지난달 7일(현지시간) 베이징 인민 대회당에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다. /로이터=뉴스1
3국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았던 지난 4년 반 동안 중국은 남·동중국해에서 해양 진출을 추진해 군사력을 증강했다. 한일 양국은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이에 대해 중국에 문제를 제기할 전망이다. 중국은 한일 안보 연계 강화를 대중 포위망으로 간주하며 경계하고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해서도 중국과 우려를 공유한다. 3국의 인적 교류와 무역 문제도 다룬다. 과학기술 분야의 협력과 기후변화 문제 등 3개국이 협조할 수 있는 안건도 보다 구체화한다.

닛케이신문은 한·미·일 관계 강화를 경계해온 중국으로선 한·일·중 3국의 회합을 통해 경제나 안보 면에서 미국 주도의 대중 억지를 약화하고 한일과의 관계 개선으로 침체된 경제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고 짚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