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10명 중 2명은 "틱장애, 섭식장애 등 경험"

머니투데이 구단비 기자 2024.05.02 12:00
글자크기
/사진제공=복지부/사진제공=복지부


보건복지부가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를 처음 실시한 결과 10명 중 2명은 '정신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는 우울증, 강박증, 신경발달, 섭식불편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복지부는 전국 6세 이상 17세 이하 소아·청소년 6275명을 대상으로 '2022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소아·청소년)를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주관하에 서울대학교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약 6개월간 진행됐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은 16.1%였다. 소아의 경우 14.3%, 청소년은 18%였다. 평생 유병률은 조사 시점 전후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 진단을 충족한 경우를 뜻한다.

조사 시점에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경우를 의미하는 현재 유병률은 7.1%로 소아 4.7%, 청소년 9.5%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적대적 반항장애(2.7%), 틱장애(2.4%), 섭식장애(1.1%)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평생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중 지난 1년 동안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비율은 4.3%였다. 정신건강서비스의 평생 이용비율은 6.6%로 나타났다. 지난 2주간 자살사고(생각)는 1.0%로 나타났다. 자살시도는 0.2%, 비자살적 자해는 1.4%로 집계됐다.

조사를 실시한 김붕년 서울대 교수는 "본 조사는 전국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장애와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첫 번째 국가통계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낮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제고 방안과 주기적인 추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조사 보고서는 정신건강 조사누리집 또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오는 3일 '2022년 정신건강실태조사(소아·청소년) 결과공표와 향후 발전방향 모색'을 주제로 결과발표회를 개최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