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질병위험↑…'기후보건 중장기계획' 마련한다

머니투데이 박미주 기자 2024.04.04 12:00
글자크기
사진= 질병청사진= 질병청


기후변화가 미래 질병의 가장 큰 위협 요인이 될 것이란 전망에 따라 국민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중장기계획이 마련된다. 기후변화로 기온이 오르면 온열질환 등이 늘 수 있고 생태계 변화로 매개체 감염병 노출 가능성도 높아진다. 대기질과 수질 악화로 인한 질환도 우려된다.

질병관리청은 효율적인 기후보건 적응정책 추진을 위한 '기후보건 중장기계획'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질병청 차원의 효율적인 질병 감시와 기후위기 대비·대응으로 국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후 회복력을 증진하는데 중점을 뒀다.



기후 회복력이란 사람이나 생태계가 특정 기후위기와 위험, 스트레스 등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 즉 기후위험으로부터 회복할 준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 지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중장기계획의 비전은 '선도적 기후위기 대비·대응으로 국민의 기후보건 회복력 증진'이다. 목표는 '질병 감시를 통한 선제적 기후위기 대비·대응 체계 강화'와 '민·관 및 글로벌 협력으로 기후위기 적응 인프라 구축'이다.



이를 위한 추진 전략은 △기후위기 선제적 감시로 기후-질병 경보기능 강화 △기후위기 대비·대응체계 강화로 국민 건강보호 △기후위기 대응 민·관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킹 강화 △기후보건 적응을 위한 과학적 인프라 구축 4개다.
사진= 질병청사진= 질병청
질병청은 온열·한랭질환 응급실 감시자료와 기상자료를 연계해 발생 위험을 파악하고, 건강피해 경보기능을 강화하는 등 온열·한랭질환 발생 위험을 선제적으로 대비할 계획이다. 이상 기상현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갖춰 감시체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이상 기상현상(산불, 폭우, 태풍 등)의 건강영향 파악을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조사체계를 수립한다.

또 기후보건 적응정책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으로 권역별대응센터를 중심으로 지역협력체계를 마련한다. 지역의 기후보건 적응대책을 지원하고 관계기관과 학계 등 민·관전문가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기후보건의 분야별 현안과 이슈를 발굴해 추진할 방침이다.

국제기구와 주변국(TCS, 한일중 3국 협력사무국)과의 협력기반 마련으로 글로벌 행동계획, 정책변화, 우선순위 선정 등 기후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질병청은 중장기계획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 연도별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세부 과제별 예산 확보 노력과 추가과제 발굴 등 운영을 탄력적으로 추진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최근 기후­건강문제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질병청 차원의 기후보건 적응정책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기후위기 극복에서 보건문제를 최상위 과제로 추진하고 국민의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