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라 4·3의 봄바람, 날아라 평화의 씨', 4·3희생자 추념식 거행

머니투데이 제주=나요안 기자 2024.04.03 14:22
글자크기

추념식에 한덕수 국무총리, 유족 등 1만여명 참여…미신고 희생자 추모·명예회복 등 의미 담아 봉행

제76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제주 4·3평화공원 위령제단·추념광장에서 거행됐다. /사진제공=제주특별자치도.제76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제주 4·3평화공원 위령제단·추념광장에서 거행됐다. /사진제공=제주특별자치도.


제76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오전 10시 제주 4·3평화공원 위령제단·추념광장에서 거행됐다.

이번 추념식은 제주4·3의 정신을 일깨우고, 평화의 씨가 날아 곳곳에 평화와 행복이 가득해져 슬픈 역사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불어라 4·3의 봄바람, 날아라 평화의 씨'를 슬로건으로 정했다.

추념식에는 4·3 생존희생자 및 유족, 제주도민, 정부 및 정당 관계자 등 1만여명이 참석했으며, 정부 대표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강도형 해수부 장관, 고기동 행안부 차관, 이상훈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 송두환 국가인원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또 재외제주도민회 총연합회를 비롯한 서울·인천·부산·광주·경남 등 지역도민회도 2년 연속 참석했으며, 전국 17개 시도지사협의회 교육감도 참여해 제주4·3의 기억과 정신을 함께 공유했다.



추념식은 식전행사와 본행사로 진행됐다. 식전 행사인 추념시 낭송은 제주여고 김지원 학생이 4·3을 직접 경험치 못한 세대이지만 조부모의 이야기를 듣고 그 아픔을 공감하며 쓴 추념시를 낭송하며, 전 세대가 4·3을 함께 기억하고 공감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했다.

오전 10시 정각에는 1분간 제주도 전역에 묵념 사이렌이 울려 4·3영령을 함께 추념했다. 본행사는 △묵념 △애국가 제창△인사말 △제주4·3 경과보고 △추념사 △유족사연 △추모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추념사를 통해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정부는 4·3사건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하여 화합과 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범 4·3희생자유족회장은 "4·3의 실체적 진실을 향한 처절한 투쟁으로 4·3특별법이 개정돼 희생자에 대한 4·3보상금 지급, 직권재심 청구로 인한 명예회복, 뒤틀린 가족관계도 폭넓게 해결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4·3과 같은 비극이 더 이상 되풀이되지 않는 평화·인권공동체로 나아가는 따뜻한 국가를 간구한다"고 말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이제 4·3은 낡은 이념의 시대의 종결을 알리고 사람 중심의 빛나는 세상을 열어가고 있다"며 "혹독한 겨울을 견뎌낸 동백꽃이 치유와 사랑의 꽃망울을 활짝 틔우듯, 긴 어둠을 이겨낸 제주와 4·3이 지구촌 평화 번영을 위한 씨앗으로 뿌려져 다음 세대에 정의로운 미래를 안길 것이다. 제주가 열어나가는 사람 중심의 빛나는 미래를 4·3 영령님들과 함께 지켜봐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