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시평]스마트한 농산업

머니투데이 김성훈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2024.04.04 02:03
글자크기
김성훈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김성훈 충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


최근 농산물 가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뜨겁다. 사과 등 과일가격 급등 관련 이슈가 노지채소로 옮겨가더니 앞으로 출하될 시설과채류 가격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원인으로 여러 분석이 진행되지만 10여년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기상재해가 주요 원인이란 점에 대부분 동의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갈수록 심해지는데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이 2012년 12.1℃에서 2022년 12.9℃로 1℃ 가까이 오름에 따라 폭염, 호우, 가뭄, 냉해, 우박, 일조량 부족 등 기상재해의 발생빈도와 변동성도 갈수록 커진다.

보다 근본적인 이슈 또한 제기되는데 우리나라 농업생산의 구조적 문제다. 농촌지역에서 더 빠르게 진행되는 인구감소 및 고령화는 노동집약적인 전통농업의 한계성을 심화시키는데 농촌에 사시는 우리 부모님과 친척이 그저 애쓰고 버티시기를 바라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한 시대가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 농업이 더 이상 하늘과 사람이 짓는 농사가 아닌 기술과 정보가 주도하는 스마트 농산업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미국과 유럽 등 농산업 선진국은 진작부터 농산업의 스마트화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농작업의 무인화를 통한 노동력 절감, 스마트팜과 식물공장을 통한 작물의 생육환경 최적화,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정밀농업을 통한 생산성 극대화 등을 위해 그야말로 산학연이 하나가 돼 애그테크(Agtech)의 고도화를 구현해 나간다. 일례로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국제 가전박람회(CES)에서 세계적 농기계업체인 존디어가 인공지능 기반 무인트랙터와 디지털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2030년까지 원격관리가 가능한 완전 자율농장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해 관련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식물공장과 같이 한정된 실내공간이 아닌 대규모 자연노지에서 사람이 없는 농업을 실현하겠다는 것으로 그 성패에 이목이 쏠린다.

우리나라도 농산업의 스마트화가 최근 들어 가속화한다. 특히 스마트팜과 식물공장을 중심으로 내수와 수출시장이 확대된다. 정부 또한 최근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해 2027년까지 매출 100억원 이상의 스마트농산업 기업을 100개사로 늘리고 스마트팜 수출규모를 8억달러까지 키운다는 목표를 세우고 스마트농산업 혁신을 위한 제도개선과 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에 정책을 집중한다.



세계적 수준의 ICT(정보통신기술)와 시설·정밀농업 역량을 보유한 우리 농산업이 스마트화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현장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제도가 스마트한 농산업 실현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다. 특히 전통적 토경(土耕)농업과 다른 식물공장의 입지규제, 스마트팜 기업의 사업범위 제약, ICT 농기자재에 대한 과세문제 등 현장에서 요구하는 제도개선이 적시에 이뤄져 스마트농산업이 농산물 공급 불확실성에 따른 가격불안 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