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검입니다"…검찰 사칭 보이스피싱에 파들파들, 20대 노린다

머니투데이 이강준 기자 2024.04.02 11:03
글자크기

[MT리포트-금융알못 MZ세대]③올해 1~2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 61.3%가 '20대 이하'

편집자주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년 세대가 유독 디지털 금융환경에선 맥을 못춘다. 비트코인 등 신 금융문물에 누구보다 적극적이나 '리볼빙'이 고금리 상품인지 모르고 쓰다가 연체율이 치솟고 피싱 범죄의 타깃이 되기도 한다. 청년 금융문맹의 실태를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짚는다.

삽화=임종철 디자이너 /사진=임종철삽화=임종철 디자이너 /사진=임종철


중·장년층이 주요 목표로 여겨지던 보이스피싱이 이젠 2030 청년을 노린다. 온라인·비대면 문화에 익숙한 20대 이하 청년도 경찰·검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한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에 속절없이 당한다.

2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 1521명 중 61.3%가 20대 이하였다. 30대 피해자도 10.1%였다.



기관사칭형은 수사 기관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가 고도화하면서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범죄 유형을 △기관사칭형 △대출사기형 △납치빙자형 △메신저피싱형 △몸캠피싱형 등 5가지로 분류했다.

기관사칭형 피싱범은 자신을 검사나 수사관이라고 소개하며 "휴대전화가 도용돼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됐는지 확인해야 하니 지금 보내준 앱을 설치해달라"고 유도한다.



보이스피싱 1020 피해자 더 늘었다 보이스피싱(기관사칭형) 연령대별 발생 현황/그래픽=조수아보이스피싱 1020 피해자 더 늘었다 보이스피싱(기관사칭형) 연령대별 발생 현황/그래픽=조수아
피해자가 의심하면 허위 형사사법 포털 사이트에서 만든 공소장이나 구속영장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피해자가 지시를 따르면 계좌 이력 조회를 위해 주거래은행과 계좌번호, 메일주소를 알려달라고 한다. 확인 절차가 끝나면 채팅 내용과 통화 기록을 삭제해달라고 요청한다.

피해자가 구제 받도록 금융감독원 민원실 담당자와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속이는 수법도 있다. 검찰과 금감원 모두를 사칭해 양 기관에서 번갈아 전화하며 속이는 셈이다.


젊은층을 겨냥한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은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자수는 1만1503명으로 전년보다 10.2% 줄었지만 같은 기간 피해액은 1965억원으로 35.4% 늘었다.

전 연령층에서 피해액이 늘었지만 특히 2030 젊은층의 피해가 특히 컸다. 20대 이하 피해액은 전년보다 151.1%가 늘어난 231억원, 30대는 254.8% 급증한 188억원으로 집계된다.

'2030' 겨냥 보이스피싱, 2021년부터 성행…경찰 "SNS서 숏폼 통해 젊은층 대상 예방법 홍보"
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에서 진행된 대학생 소비자 피해 예방 캠페인에서 경찰 관계자가 대학생들에게 보이스피싱 대처 요령이 적힌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문제되는 해외직구·해외여행 및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디지털금융사기)에 대한 피해 예방 정보제공을 위해 진행됐다./ 사진=뉴시스인천 연수구 인천대학교에서 진행된 대학생 소비자 피해 예방 캠페인에서 경찰 관계자가 대학생들에게 보이스피싱 대처 요령이 적힌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문제되는 해외직구·해외여행 및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디지털금융사기)에 대한 피해 예방 정보제공을 위해 진행됐다./ 사진=뉴시스
젊은층을 노린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은 2021년부터 성행했다. 금융감독원이 2021년 2~3월 중 보이스피싱 피해자 6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사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에 사기 피해를 입은 피해자 127명 중 절반이 20대였다.

경찰청 관계자는 "사회경험이 없는 젊은층이 기관사칭형에 유독 취약하다"며 "수사기관은 어떤 상황에서도 금전 이체를 요구하거나 금융거래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찰은 올해 SNS(소셜미디어)에서 숏폼 등으로 2030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법 홍보에 집중할 계획이다. 보이스피싱 범죄 전반에 대해서도 강력 대응한다. 지난달 전기통신금융 사기(보이스피싱)를 비롯한 '10대 악성 사기'를 선정하고 사기별 대응책을 마련했다.

경찰청은 올해 2월 보이스피싱 전담부서인 '피싱범죄수사계'도 신설했다. 같은 달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센터)' 설치 근거규정을 신설해 보이스피싱 원스톱 신고·제보와 추가범행 차단 활동을 할 수 있는 법률 기반도 마련했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스미싱을 겨냥한 특별단속을 지난달부터 진행 중"이라며 "각 경찰서 수사과에 '악성사기 추적팀'을 설치해 보이스피싱을 비롯한 금융사기 피의자에 대한 집중적인 검거활동에도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