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빚 2780조원…번 돈으로 이자도 못내는 기업 늘었다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세종=유재희 기자 2024.03.29 04:51
글자크기

[한국은행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 추이/그래픽=임종철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 추이/그래픽=임종철


우리나라 기업들의 빚(신용) 증가세가 가파르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체율도 높아졌다. 고금리 상황 속 높아진 이자 부담에 '빚으로 버티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신용 2780조1000억원…영업이익으로 이자 내기도 버거운 기업 늘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업 빚 규모는 2780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



명목 GDP(국내총생산) 대비 기업신용 비율을 124.3%로 나타났다. 전분기(124.1%)보다 높아졌다.

고금리 시기 빚이 늘었다는 것은 사실상 빚으로 경영활동을 이어나가는 기업이 많아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 1 미만 취약기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44.4%로 나타났다. 2022년(37%)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전체 기업의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1.6배로 전년 5.1배에서 나빠졌다.



성장성도 문제다.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4%를 기록했다. 매출액 증가율은 2020년(-4.7%) 이후 2021년(19.2%), 2022년(18.9%) 2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다 지난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신용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단 우려가 높아진다. 지난해 4분기 기준 기업신용 연체율은 1.65%로 1년 전(0.95%)보다 크게 높아졌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연체율이 이 기간 1.12%에서 1.93%로 올랐다.

한은은 "금융권 전체적으로는 연체율이 장기평균(2009~2019년, 1.81%)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비은행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커지는 부동산 PF 위기론…
이종렬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안정 상황(2024년 3월)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은행 이종렬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안정 상황(2024년 3월)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은행
'부동산 PF( 프로젝트 파이낸싱) 4월 위기설'도 계속되고 있다. 한은은 "부동산 경기 및 건설업황 회복이 지연될 경우 PF사업장 부실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계했다.

최근 금융기관의 PF대출은 증가세가 정체된 가운데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업권별 PF대출 연체율은 △증권사 13.7% △저축은행 6.9% △여전사 4.7% △상호금융 3.1% △보험사 1% △은행 0.4% 등이다. 증권사는 대손상각, 채무보증 대출 전환 등으로 지난해 2분기 이후 연체율이 하락전환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과 여전사는 연체율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건설사 등을 중심으로 재무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현재 건설사 재무제표에 반영돼있지 않은 PF채무보증이 지난해 3분기 기준 28조원(한국신용평가 등급 보유 건설사 중 연대보증, 채무인수 등이 있는 15개사 합산)에 이른다. 만약 PF사업장 부실로 우발부채가 현실화할 경우 자기자본에 비해 보증규모가 큰 일부 건설사들은 부채비율 상승에 따라 재무건전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다만 현시점에서 부동산 PF 부실이 크게 확산되더라도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 등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게 한은 분석이다.

한은이 금융기관에 의해 '악화우려'로 분류된 사업장과 자체적으로 '고위험'으로 분류한 사업장의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전체가 부실화해 추정손실로 분류됐을 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업권의 평균 자본비율이 규제 기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기존 14.1%→12.6%) △여전사(18.4%→17.7%) △증권사(740.9%→727%) △보험사(224.1%→223%) △은행(16.6%→16.6%) 등이다.

또 고위험 PF사업장('악화우려' 사업장 포함)의 부실로 시공사에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면서 해당 시공사가 진행하는 다른 PF사업장들의 익스포저까지 부실화하는 경우에도 업권별 평균 자본비율은 △저축은행(기존 14.1%→11.4%) △여전사(18.4%→16.8%) △증권사(740.9%→717.1%) △보험사(224.1%→221%) △은행(16.6%→16.4%) 등으로 규제비율 이상을 유지했다.

한은은 "부동산 PF사업장의 잠재리스크가 현실화하고 이 리스크가 취약 건설사를 통해 전이 및 확산되는 예외적 시나리오리를 가정하더라도 금융업권 자본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감내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