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위, '퇴근지옥' 명동 광역버스 노선·정류장 조정 검토

머니투데이 이정혁 기자 2024.03.21 11:00
글자크기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12일 서울 중구 '남대문세무서, 서울백병원' 정류소(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승객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해당 정류소는 교통섬 형태로 버스 승·하차 가능 면적이 160㎡에 불과하지만 광역버스 노선이 28개에 달해 사람들로 붐빈다. 이에 시는 지난 11일부터 퇴근시간(오후 5~9시)에 안전사고 예방 및 승차질서 관리, 차도 승차 방지를 위해 계도요원 2명을 투입했다.   서울시는 인파 밀집으로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서울백병원 광역버스 정류소의 혼잡 완화를 위해 건너편에 가칭 '명동성당' 정류소를 /사진=최진석[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12일 서울 중구 '남대문세무서, 서울백병원' 정류소(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승객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해당 정류소는 교통섬 형태로 버스 승·하차 가능 면적이 160㎡에 불과하지만 광역버스 노선이 28개에 달해 사람들로 붐빈다. 이에 시는 지난 11일부터 퇴근시간(오후 5~9시)에 안전사고 예방 및 승차질서 관리, 차도 승차 방지를 위해 계도요원 2명을 투입했다. 서울시는 인파 밀집으로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서울백병원 광역버스 정류소의 혼잡 완화를 위해 건너편에 가칭 '명동성당' 정류소를 /사진=최진석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위원회는 22일 '수도권 광역버스 협의체' 발족과 함께 첫 회의를 연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회의는 김배성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 주재로, 서울과 경기, 인천시 등 수도권 광역버스 담당 부서장이 참석한다. 이들은 수도권 광역버스와 관련된 주요 현안과 운행노선을 점검한다.



특히 강남과 명동 일대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광역버스 노선과 정류장의 조정 방안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서울시는 명동입구 버스정류장에 도입한 '줄서기 표지판'을 도입했다가 엄청난 혼잡을 야기한바 있다.

협의체는 서울에 진입하는 광역버스가 매년 늘고 있는 만큼 주요 업무지구와 환승 인프라 등의 연계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수도권 광역버스는 경기·인천과 서울을 300여 개의 노선에서 작년 평균 하루 약 1만4000회 운행하며 약 55만 명을 태웠다.



김배성 대광위 광역정책국장은 "광역버스 노선의 효과적인 조정 등으로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고 이용객의 편의와 안전도 확보해 나갈 것"이라면서 "기존 광역버스 이용객이 노선 조정으로 인한 혼선과 불편을 겪지 않도록 면밀하게 분석·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서울 송파구 잠실 광역환승센터를 찾아 당산역과 운정역 등의 광역환승센터를 연내 준공한다고 밝혔다. 또 양재역 등 주요 환승 거점에도 환승센터를 확충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