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넘치는데 수요 적은 봄철…원전·태양광 등 출력제어

머니투데이 최민경 기자 2024.03.19 13:48
글자크기
(수원=뉴스1) 김영운 기자 = 영하권의 강추위가 이어진 22일 오후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4.1.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수원=뉴스1) 김영운 기자(수원=뉴스1) 김영운 기자 = 영하권의 강추위가 이어진 22일 오후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4.1.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수원=뉴스1) 김영운 기자


태양광 발전량이 급증하지만 냉·난방 등 전력 수요는 가장 적은 봄철을 맞아 정부가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남아도는 전력을 해소하기 위해 화력, 원전, 태양광 등 모든 전원 발전소의 출력 제어를 고려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등 유관 기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봄철 전력수급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올 봄에는 전력수급 대책기간을 지난해보다 일주일 확대해 3월23일부터 6월2일까지 72일 동안 운영한다. 지난해엔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첫 봄철 전력수급 대책을 수립했지만 올해는 계통 불안정이 심화된 상황을 감안해 전국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봄 전력수요 편차 11GW…블랙아웃 우려
산업부는 올해 4월 셋째 주 37.3GW(기가와트)까지 전력 수요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21일 최대 수요인 91.6GW의 약 40% 수준이다.



봄철 전력수요 격차만 해도 상당하다. 지난해 봄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전력수요 편차는 11.1GW에 이른다. 전력은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지 않으면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발생한다.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해도 문제지만 공급이 지나쳐도 문제다.

정부는 선제적으로 전력계통 안정화 조치를 이행해 전력 공급을 줄이고 전기 사용을 늘린다. 전력계 안정화 조치는 △주요 발전기 정비 일정 조정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전기 사용을 늘린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수요자원(DR) 활용 등이다.

신고리 1호기, 한빛 1·4호기, 월성 4호기 등 원전 4기의 정기 점검을 봄 대책 기간에 맞춘다. 미세먼지 저감까지 고려해 석탄 발전 운영을 최소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6.6GW(기가와트)의 유연성을 확보했다.


원전 포함 모든 발전원 출력제어 검토
이 같은 선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계통 불안정성이 우려되면 출력제어에 들어간다. 출력제어가 쉽고 연료비가 높은 석탄·액화천연가스(LNG)를 우선적으로 감발한다. 특히 석탄 발전은 꼭 필요한 운전을 제외하고 대부분 운전을 멈출 예정이다.

중앙급전발전기인 원전뿐만 아니라 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를 따르지 않아도 되는 태양광·풍력·연료전지·바이오 등 비중앙급전발전기도 출력제어를 검토한다. 필요시 열병합발전 등 집단에너지까지 출력 감발을 지시하는 걸 고려하고 있다.

이옥헌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특정 지역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엔 그 지역에 있는 발전기들만 출력 제어가 들어가고 비중앙급전발전기는 모두 제어 대상에 포함한다"며 "제어 소요 시간이나 횟수 같은 기술적 특성도 감안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봄철 수요 차이가 11GW 정도인데 최신형 원전으로 따져보면 7~8개의 원전이 갑자기 꺼졌다 갑자기 켜졌다 해야 되는 수요 편차"라며 "올 봄에도 전력 수요는 낮고 태양광 발전량은 많아 운영 난이도 높은 한해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양광 출력제어 서비스 시장 도입…"전력시장 공정하게"
아울러 정부는 장기적으로 전력시장 밖에 있는 태양광 발전소들을 대상으로 '출력제어 서비스 시장'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출력 제어가 예상되면 전기 공급 입찰 가격을 적게 써낸 발전소부터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가장 높은 공급 가격을 써낸 발전 사업자부터 출력 제어를 받게 된다.

2013년 1.0GW 규모였던 국내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은 지난해 28.9GW까지 늘어났다. 전체 발전량 중 태양광 비중은 아직 6% 수준이지만 설비용량을 기준으로는 원전을 넘을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정부는 태양광이 이미 주력 전원이 됐다고 판단, 앞으로 다른 발전원과 같은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금까진 태양광발전은 발전량을 예측할 의무도 없었고 시장에 입찰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모든 발전원이 동등한 자격으로 시장에 입찰하고 동등한 가격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제주도부터 태양광 발전 입찰 시장을 열고 낙찰받은 만큼 생산할 수 있도록 제도를 도입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에서 1년 정도 시행하고 2025년 제도 안착을 구상하고 있다"며 "앞으로 전력 시장 제도를 좀 더 공정하고 사업자들이 예측할 수 있게 만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