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대최대 반도체 3차 펀드 모은다"…기술자립 가능할까?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4.03.10 11:04
글자크기
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에 대응하고자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사상 최대 규모로 추가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해당 펀드로 조달한 자금을 자국 반도체 업체에 투자해 자체 기술 개발 등 반도체 산업 자급자족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에 대응하고자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사상 최대 규모로 추가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뉴스1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에 대응하고자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사상 최대 규모로 추가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뉴스1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ICF), 이른바 '빅펀드'(Big Fund)의 3차 펀드 조성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3차 펀드 규모가 지난 2019년 조성했던 2차 펀드 금액 2000억위안(약 36조6540억원)을 넘어서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2014년 반도체 산업 발전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려면 관련 국가 투자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중국개발은행은 그해 8월 펀드운용업체인 시노IC캐피털(Sino IC Capital)을 설립해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를 조성했다. 해당 펀드는 국내 반도체 기업에 투자해 중국의 '반도체 산업 자립'이라는 국가 목표 달성을 돕는 것을 목표로 '빅펀드 I'(2014~2018년)과 '빅펀드 II'(2019~2023년)로 각각 5년씩 두 단계로 구성됐었다. 빅펀드 I에서는 1390억위안(25조4745억원)을 조달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3차 펀드는 지방정부, 투자기관, 국유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조달이 이뤄진다. 상하이와 다른 도시의 지방정부, 국유자산 운용업체 청퉁그룹, 국가개발투자공사(SDIC) 등이 각각 수십억 위안을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정부의 직접 투자 비중은 앞선 펀드와 달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재무부의 빅펀드 1~2단계 비중은 각각 44%, 15%로 기여도가 가장 큰 투자자였다.



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에 대응하고자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사상 최대 규모로 추가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블룸버그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에 대응하고자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사상 최대 규모로 추가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블룸버그
블룸버그는 중국의 빅펀드 3차 조성은 갈수록 강화하는 미국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수출 제한과 관련이 있다고 짚었다. 미국의 제재 강화를 자급 반도체 산업의 자급자족으로 대응하고, 이를 위한 추가 펀드 조성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미국은 자국 반도체 공급망 강화와 중국 견제를 위해 2022년 첫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하고, 이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과 네덜란드에 이어 한국, 독일 등 동맹국에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에 참여할 것을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여전히 미국 기업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화웨이와 SMIC(파운드리업체)가 공동으로 개발해 스마트폰에 탑재한 반도체가 미국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리서치의 장비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중국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의 투자 기준이 공개되지 않는 등 투자가 불투명하게 이뤄져 투자 효과가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를 바로 잡고자 2022년 청탁금지법 조사를 진행했으나 이 여파로 관련 투자가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의 주도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막대한 자금이 조달됐지만, 관련 투자가 명확하게 이뤄지지 않아 중국 반도체 산업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통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빅펀드 1~2단계에서 조달한 자금으로 SIMC, 양쯔메모리 테크놀로지스(YMTC) 등 총 122개(1차 74개·2차 48개) 업체에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