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PBR주 한파' 막아낸 호실적…한달 37% 뛴 '이 종목' 신고가

머니투데이 박수현 기자 2024.02.21 11:44
글자크기

[오늘의 포인트]주주환원책 기대감도…삼성생명 장중 '52주 최고가'

올해 삼성생명 주가 추이.올해 삼성생명 주가 추이.


국내 증시를 뒤흔들던 저PBR(주가순자산비율)주가 이틀째 약세다. 개인, 기관, 외국인의 차익실현 매물이 차례로 쏟아지며 대형 저PBR주의 주가를 끌어내리는 모습이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삼성생명은 호실적을 발표하며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에 장 초반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21일 오전 11시27분 기준으로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생명 (91,900원 ▲3,300 +3.72%)은 전일 대비 3800원(4.65%) 오른 8만5500원을 나타내고 있다. 전날 저PBR주에 대한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3%대 하락했던 삼성생명은 호실적에 힘입어 코스피 약세에도 장 중 8만7000원을 기록하며 직전 52주 최고가(8만6000원)를 갈아치웠다.



시가총액이 큰 저PBR주는 대부분 하락세다. 삼성생명과 같은 삼성그룹주인 삼성물산 (150,000원 ▲1,600 +1.08%)(-1.29%)과 삼성화재 (326,500원 ▲10,500 +3.32%)(-1.32%)도 하락했고 자동차주인 현대차 (241,500원 ▲4,500 +1.90%)(-0.83%), 기아 (114,100원 ▲2,400 +2.15%)(-0.26%), 금융주인 KB금융 (79,300원 ▲2,700 +3.52%)(-4.57%), 신한지주 (47,750원 ▲1,250 +2.69%)(-1.50%), 하나금융지주 (62,100원 ▲2,600 +4.37%)(-1.78%), 기업은행 (13,880원 ▲40 +0.29%)(-0.15%), 통신주인 SK텔레콤 (52,400원 ▲600 +1.16%)(-1.68%), KT (35,800원 ▲150 +0.42%)(-4.10%)도 줄줄이 약세 행진이다.

저PBR주에 한파가 불어닥친 가운데 삼성생명이 눈에 띄는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실적이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전년 대비 19.7% 증가한 1조895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총자산은 314조7000억원, 자본 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킥스(K-ICS) 비율은 220~225%로 업계 최고를 유지했다.



호실적 기반의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이 다른 종목과의 희비를 갈랐다. 삼성생명의 주가는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예고하기 전날인 지난달 23일과 비교하면 37.68% 올랐다. 비슷한 수준으로 단기 급등한 현대차, 기아, 삼성물산 등이 차익실현 매물 영향으로 하락하는 와중에도 실적이 주가를 받친 셈이다.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증권가의 눈높이도 훌쩍 올라갔다. 이날 삼성생명에 대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1곳 가운데 4곳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올해 초만 해도 주가가 6만원대던 삼성생명에 대해 증권가가 제시한 목표가는 8만~10만원 선이다. 이날 주가가 급등하면서 일부 증권사가 제시한 목표가는 이미 넘어서기도 했다.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보험 본업뿐만 아니라 전자 지분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주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라며 "전자 시가총액 할인을 감안해도 18조원 이상의 지분가치를 보유 중으로 여기에 본질적인 보험업 가치를 보수적으로 적용해도 추가적 업사이드는 큰 상황"이라고 평했다.


투자자의 가장 큰 관심사인 추가적인 주주환원책 내용을 발표하지 않았다는 점은 리스크다. 삼성생명은 실적을 발표하며 주주환원 정책으로 점진적인 DPS(주당배당금) 확대와 배당 성향 35~45% 수준 유지라는 기존 입장을 제시했다. 자사주 매입·소각 등 추가적인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내용이 확정될 경우에 발표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대폭 오른 만큼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분석이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가 상승이 최상위권 자본력과 이에 기반한 주주 환원 확대 기대감에 기반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업사이드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본 정책 등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