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박차…'영문 공시 서비스' 확 바꾼다

머니투데이 방윤영 기자 2024.02.18 12:00
글자크기
영문 DART 공시 변환 사례(예시) /사진=금융감독원영문 DART 공시 변환 사례(예시) /사진=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인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영문 공시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금감원은 영문 전자공시시스템(DART·다트)을 고도화하고 데이터 개방 플랫폼인 '영문 오픈 다트'를 개발해 연내 서비스한다고 18일 밝혔다.



금감원은 영문 공시의 다양성과 접근성 부족이 국내 증시에 대한 저평가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금융위원회·한국거래소 등과 지난해 1월 '영문 공시 단계적 확대 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 시장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기업의 추가적인 공시 부담 없이 외국인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다트 영문 정보를 확대하는 '영문 다트 시스템 개선'을 추진했다.

개선 방안 1단계로 사업보고서 등 법정 공시 제출 즉시 영문 다트에서 공시 발생 사실 등을 영문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新) 영문 다트 시스템'을 지난해 7월부터 가동했다. 2단계가 영문 다트 고도화와 영문 오픈 다트 구축이다.



우선 영문 다트는 외국인 투자자가 법정 공시 주요 항목인 목차·서식 등을 영문으로 자동 변환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검색 기능을 강화해 기존에는 회사명으로만 검색할 수 있었으나 국문 다트와 동일하게 보고서명 등으로도 찾을 수 있도록 보강한다. 별도로 공모 게시판을 마련해 공모 정보를 공급한다.

주요 공시 데이터 83종을 분석·활용하기 위한 영문 전용 서비스인 영문 오픈 다트도 새로 만든다. 주요 공시 정보 데이터 개방을 위한 인터페이스(API) 등을 함께 제공한다.

주요 비영어권 국가인 일본은 보고서 제목만 영문화하고 영문 API는 제공하지 않는다. 중국은 영문 공시 시스템이 없고, 영문 API를 유료로 판매한다. 이에 비해 한국은 다양한 데이터를 영문으로 실시간 무료로 공급하게 된다. 외국인 투자자가 영문 보고서 원문과 주요 공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접근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외국인 투자자가 공시 발생 사실에 이어 목차와 주요 항목까지 영문으로 실시간 확인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쉽게 수집·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국내 자본시장의 저평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투자자에게만 제공됐던 공모 정보 등 주요 편의 기능을 외국인 투자자에게도 동일하게 제공해 국내 기업의 자본 조달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금감원은 오는 4월까지 공개경쟁 입찰 절차를 마친 뒤 연내 정식 가동을 목표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