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8시까지 초1 돌봐주는 '늘봄학교' 2학기부터 전국서 운영

머니투데이 정인지 기자, 유효송 기자 2024.02.05 11:53
글자크기
[하남=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기도 하남 신우초등학교에서 '따뜻한 돌봄과 교육이 있는 늘봄학교' 주제로 열린 아홉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올해 늘봄학교 추진계획 등에 대한 발표를 듣고 박수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2.05.[하남=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기도 하남 신우초등학교에서 '따뜻한 돌봄과 교육이 있는 늘봄학교' 주제로 열린 아홉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올해 늘봄학교 추진계획 등에 대한 발표를 듣고 박수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2.05.


올해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 정규수업 전후로 교육과 돌봄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도입된다. 기존 선착순·맞벌이 등으로 선발했던 방과후·돌봄 체제에서 벗어나 초등학교 1학년은 누구나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학교에서 돌봐주는 서비스다. 다만 과밀학교의 늘봄 시설 부족, 신청자 폭증 시 교육의 질 하락 우려 등은 여전히 현장에서 풀어야 할 숙제다.

윤석열 대통령은 5일 경기도 하남에 있는 신우초등학교에서 아홉번째 민생토론회를 열고 "올해 예비 학부모 수요조사 결과 83.6%가 늘봄학교 참여를 희망할 정도로 큰 기대를 받고 있다"고 강조한 뒤 "돌봄과 교육만큼은 국가가 확실하게 책임지겠다"며 이같은 내용이 담긴 '늘봄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 1학기 초등학교 2000여곳을 시작으로 2학기부터 전국(지난해말 기준 6175곳)으로 확대해 늘봄학교를 운영한다. 지난주까지 각 교육청이 늘봄학교 신청을 취합한 결과 1학기 목표(2000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이 서울보다는 지방 학교였다. 서울은 이미 오후 8시까지 돌봄을 시행 중인데다 과밀학교가 많아 시설 확충에 고심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설 이후 늘봄학교 (선정결과)를 발표해 학부모들이 새학기 준비에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내년부터는 늘봄학교 대상이 초등학교 2학년으로 확대된다. 이후 교육부는 실제 운영 상황을 평가해 늘봄학교 3학년 이상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 일단 2026년에 전학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방과후·돌봄과 늘봄학교의 가장 큰 차이는 운영시간이다. 늘봄은 방과후·돌봄(오후 1~5시)과 달리 아침이나 정규수업 후 최대 저녁 8시까지 연장할 수 있다. 운영 시간은 학생과 학부모 수요를 바탕으로 교육청·학교별로 결정하면 된다. 신청 우선 순위, 추첨, 탈락 등이 없이 지원자 모두에게 제공된다는 점도 차별점이다. 학기 중 저녁시간에 늘봄학교를 이용하는 학생에게는 저녁 식비가 전액 지원된다.

늘봄학교는 아울러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학부모 선호도가 높은 체육, 문화·예술, 사회·정서, 창의·과학, 기후·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매일 2시간 맞춤형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한다. 올해 늘봄 대상이 아닌 초등학교 2학년 이상에게는 기존대로 방과후 수업이 제공된다.

교육부는 우선 1학기에 늘봄학교 신규업무를 담당할 기간제 교원 2250명을 각 학교에 배치한다. 2학기부터는 공무원과 단기계약직, 퇴직 교원 등을 활용해 기존 방과후·돌봄 업무를 포함한 늘봄학교 행정 업무 전반을 전담하는 실무직원을 투입한다. 늘봄지원실도 학교마다 설치한다. 2025년에는 학생 수가 많은 큰 학교의 늘봄지원실장으로 지방공무원을 배치한다.


하지만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시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교육부는 지난해 4월 기준 돌봄대기 수요를 8700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중 64%(5572명)가 경기도에 쏠려 있다. 경기도의 경우 2022년 기준 공립 과밀초등학교(학급당 학생수가 28명인 학급이 1개 이상인 학교)가 752곳으로 전국 1418곳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부는 특별실과 도서관, 다목적실, 일반교실 등을 활용한다는 입장이지만 물리적으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면 결국 교실 수업의 연장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늘봄 대상이 확대되면서 교육의 질 저하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현재 돌봄·방과후 정원은 대부분 학급당 20명 내외다. 늘봄 참여자가 증가하면 강사를 늘리거나 프로그램당 참여 인원을 그만큼 보강해야 한다. 교육부는 지방자치단체, 지역 대학, 단체·협회와 연계해 저학년 맞춤형 프로그램 강사를 섭외할 계획이지만 실제 채용 등은 각 학교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지역별로 양질의 강사를 구하는데도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

아울러 교육부가 '외부 강사 구성을 원칙으로 하되 희망하는 교원은 강사로 참여 가능하다'고 교사 참여 가능성을 열어놔 학교가 강사 섭외에 실패할 경우 교사에게 업무가 떠넘겨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