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환매시장 만든다더니…거래소 "실익 없다" 결론, 사실상 무산

머니투데이 김사무엘 기자 2024.02.05 18:37
글자크기
한국거래소 서울사옥한국거래소 서울사옥


홍콩 지수를 기초로한 ELS(주가연계증권)의 대규모 손실 사태가 문제로 불거진 가운데 정부가 ELS의 원활한 환매를 돕기 위해 추진했던 ELS 환매시스템 구축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환매시스템 구축의 실무 부서인 한국거래소가 기존의 ELS 상환 방식 대비 효용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지난해 ELS 주요 판매사(은행)와 발행사(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ELS 환매인프라 구축에 관한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익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지난해말 이 같은 내용을 금융위원회에 보고했다.



현재 ELS 환매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환매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기존 방식 대비 고객 편의성이나 시장 효율성이 얼마나 개선되는지 여부를 검토한 것인데 개선점이 뚜렷하지 않다고 본 것이다.

ELS 환매인프라는 금융당국이 2020년7월 발표한 '파생결합증권시장 건전화 방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다. 당시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 증시 변동성이 커졌고 해외 지수를 기초로 한 ELS에서 대규모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발생하는 등 리스크가 커지면서 당국이 관련 대책을 마련했다.
ELS 환매시장 만든다더니…거래소 "실익 없다" 결론, 사실상 무산
ELS의 문제점으로 꼽혔던 것 중 하나가 중간에 투자회수가 어렵다는 점이었다. ELS는 사전에 정해진 조건만 충족하면 조기상환 시점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인데 기초지수의 급격한 하락 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시 장기간 원금이 묶이게 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홍콩H지수 기반 ELS가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몇 년간 홍콩 증시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ELS가 급증했고 3년 만기 동안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했다.



금융당국의 생각은 ELS도 ETF(상장지수펀드)나 ETN(상장지수증권), ELW(주식워런트증권) 처럼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는 유통시장을 만들자는 것이었다. 이렇게 되면 만기 전에도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ELS를 사고 팔면서 얼마든 투자회수를 할 수 있고 시장의 가격발견 기능으로 인해 기존에 판매사에 환매요청을 하던 방식보다 더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거래소가 직접 현황을 파악한 결과 환매인프라 구축은 큰 실익이 없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환매인프라를 구축하면 가격이 조금 더 유리하다든가 환매기간이 단축되는 등 개선 효과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현재도 판매사에 ELS 환매 요청을 하면 공정가격을 기준으로 3거래일 이후 환매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ELS 상품의 특성상 애초에 환매시스템 구축이 불가능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유통시장의 형성되기 위해선 우선 상품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ELS는 여러 파생상품을 결합한 구조화증권으로 상품마다 기초자산의 수와 종류, 만기, 금리, 조기상환 조건 등이 제각각이다.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는 표준화 상품이 아니라는 의미다.


상품의 유동성도 문제다. 같은 회차로 발행된 ELS는 구조가 똑같기 때문에 이론상 거래가 가능하지만 대부분 발행금액이 100억원 미만으로 작아 충분한 유동성이 공급되기 어렵다. 시장의 가격발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거래소는 환매인프라를 구축하는 대신 ELS의 공정가격과 손실률을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각 판매사들을 통해 확인해야 했던 ELS 공정가격을 거래소의 '파생결합증권 통합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게 되면 투자자들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자신이 보유한 ELS의 현재 가치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