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0엔은 15800원 내세요"…대구 식당 '엔화' 메뉴판 시끌

머니투데이 박효주 기자 2024.01.31 17:45
글자크기
원화가 아닌 엔화로 안내돼 있는 메뉴판. /사진=X 갈무리원화가 아닌 엔화로 안내돼 있는 메뉴판. /사진=X 갈무리


영어로만 적힌 메뉴판에 이어 모든 음식 가격이 일본 '엔화'로 적힌 메뉴판이 등장해 논란이다.

최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X(옛 트위터)에는 대구 동성로의 한 일식점에서 사용하는 메뉴판 사진이 공유됐다. 해당 사진을 보면 메뉴판 자체는 다른 식당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 가격만큼은 다소 특이하다. 원화가 아닌 엔화로 표기돼 있어서다.

오징어 먹물 리소토 몬자야키 1580엔, 돼지 김치 몬자야키 1380엔, 명란 모찌 몬자야키 1480엔 등이다. 엔화 표기와 관련해 메뉴판 상단에는 "엔화로 표기된 가격은 '0'을 붙여 원화로 계산해주세요"라는 설명이 담겼다.



안내대로라면 1580엔이라고 적힌 오징어 먹물 리소토 몬자야키 가격은 실제로는 15800원인 셈이다. 사진을 올린 X이용자는 "현지 기분을 느끼란 걸까"라고 의아해했다.

메뉴판을 두고 누리꾼들 의견은 엇갈렸다. 일부는 "가게 마음이지 솔직히", "별걸로 다 시비 건다. 사업적 선택은 자유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 지는 거지, 손님들이 좋아할지 안 좋아할지 뭐가 문제냐"라는 의견을 보였다.



반면 다른 일부는 "엔화로도 받으면 유쾌한데 엔화로는 안 받네", "엔화 표기 자체보다 환율 무시하고 받는 게 문제 아니냐", "저럴 거면 환율 적용해 줘라" 등 의견을 내놓았다.
한글 표기가 없는 메뉴판.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한글 표기가 없는 메뉴판.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지난해에는 메뉴판이 모두 영어로 표기돼 있어 논란이 됐었다. 당시 논란이 됐던 일부 메뉴판에는 '1인 1음료'만 한글로 적혀 있어 빈축을 사기도 했다.

옥외광고물법에 따르면 광고물의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맞춤법이나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외래어표기법 등에 맞춰 한글로 표시해야 한다. 외국어로 표시할 때도 한글과 같이 적어야 한다. 다만 메뉴판의 경우 식당 내부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옥외광고물에 해당하지 않아 현행법으로 이를 제제 할 근거는 없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