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인구가 20대보다 많다" 사상 첫 추월…늙어가는 한국

머니투데이 이창명 기자 2024.01.10 12:00
글자크기

행정안전부, 2023년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통계 발표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노인의 날인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받기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2023.10.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노인의 날인 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받기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2023.10.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면 사상 처음으로 국내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섰다.

행정안전부가 10일 발표한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5132만5329명으로 전년(5143만9038명)보다 0.2%(11만3709명) 감소했다. 2020년 이후 4년 연속 줄고 있다. 지난해 출생자 수는 23만5039명, 사망자 수는 35만3920명으로 자연적 요인에 따른 감소는 11만8881명이다. 2년 연속으로 10만명 이상 감소한 것이다.

특히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631만9402명)가 20대 인구(619만7486명)를 추월했다. 우려했던 초고령화사회 진입도 현실화됐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73만411명(19.0%)으로 전년(926만7290명) 대비 5.0%(46만3121명) 증가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본다.



3593만1057명으로 전체의 70%인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전년(3628만1154명)보다 35만97명 줄었고, 핵심 생산가능인구(25~49세)도 1790만728명으로 같은 기간 26만3240명 감소했다. 올해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6세 인구(2017년 출생)는 36만4740명으로 전년(41만3162명)과 비교해 11.7%(4만8442명) 급감해 4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2014~2023년 주민등록 인구수 및 증감 현황/자료=행정안전부2014~2023년 주민등록 인구수 및 증감 현황/자료=행정안전부
반면 전체 주민등록 세대수는 2391만4851세대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2370만5814세대)보다 20만9037세대가 증가한 수치다. 평균 세대원 수는 2.15명으로 0.02명 감소했다. 세대수 증가는 1인 세대가 늘어난 영향이다. 1인 세대는 993만5600세대로 가장 큰 비중(41.6%)을 차지했고, 1인 세대 중 70대 이상이 전체의 19.7%로 가장 많았다. 60대도 18.4%에 달했다.

2019년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추월한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인구 격차도 커지고 있다. 수도권 인구는 2601만4265명으로 비수도권 2531만1064명보다 70만3201명 많았다.



주민등록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5곳이며. 이 중 경기도(4만1389명)와 인천시(3만96명) 1·2위를 차지했다. 인천 서구(3만5345명)와 경기 화성시(3만3528명) 인구가 눈에 띄게 증가한 덕분이다. 대구시(1만1269명)도 증가했지만 군위군 편입 효과로 분석됐다. 충남도(7082명)와 세종시(2934명) 인구도 각각 증가했다.

시·군·구에서는 인천 서구와 경기 화성시, 경기 양주시 등 19곳이 자연적 요인(출생-사망)과 사회적 요인(전입-전출) 모두 증가했다.

정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89곳) 가운데 대구 서구(4261명)와 부산 동구(1330명), 충남 예산군(969명) 등 9곳이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했는데 주로 택지 개발 등이 주효했다는 평가다.17개 시·도 중 타 시·도로부터 인구 순유입이 이뤄진 자치단체는 경기도(4만4743명)와 인천시(3만3535명), 충남도(1만5875명), 충북도(3904명), 세종시(1692명) 등 5곳이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체류형 인구개념인 생활인구를 활용하여 지역이 인구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아울러 아이들을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