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수학 뺀 '2028 수능' 사교육 부담 낮출까..대학 강화안이 변수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2023.12.25 18:10
글자크기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교육위원회 제24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교육위원회 제24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현재 중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부터 수학영역 출제 범위가 문과 수준으로 좁아지면서 대입 전형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시험 과목이 줄면서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을 낮출 수 있어 사교육 의존도 낮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대학들이 최상위권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 대학별 고사 등 다른 평가 비중을 높일 수 있고, 미적분·기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올해 수능처럼 한층 더 어렵게 출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5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조만간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권고안을 검토해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앞서 국교위는 지난 22일 "공정하고 단순한 수능을 지향하는 통합형 수능의 취지와 학생의 학습 부담을 고려하고, 수능에서 심화수학 과목을 도입하지 않더라도 학생들은 학교에서 관련 교과목을 학습할 수 있고 대학은 그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관련 시안 발표 시 국교위의 결정을 존중키로 한 만큼 심화수학은 최종안에서 빠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수능 수학은 공통과목과 확률과통계·미적분·기하 등의 선택과목 구조로 돼있으며 국교위 의결대로 심화수학이 제외되면 시험 범위는 공통과목에 있는 '대수'와 '미적분Ⅰ' 부문과 문과 학생이 주로 선택하는 '확률과통계'만 포함된다. 현행 수능에서 자연계열을 희망하는 이과생이 주로 택하는 미적분Ⅱ와 기하 과목이 4년 뒤부터는 수능 출제 범위에서 제외된다는 얘기다. 미적분Ⅱ는 수열의 극한·적분법 등을, 기하는 이차곡선·공간도형 등을 다룬다.

교육부가 제시했던 심화수학 과목은 선택이지만 신설될 경우 의대 등 자연계열 상위권 학과에서 가점을 주거나 응시를 필수로 지정할 가능성이 컸다. 국교위가 심화수학을 신설하지 않기로 한 것은 '초등학교 의대반' 등이 인기를 끄는 등 선행학습이 과도하게 이뤄지는 상황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교육부의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세부 통계를 살펴보면 '진학희망 대학 전공영역 유형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에서 통상 이과계열 학생들이 희망하는 수학 및 통계학 사교육비가 61만4000원으로 전공 유형별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이어 통상 인문계열 학생들이 선택하는 예술 및 인문학(55만6000원), 사회과학과 언론 및 정보학(53만9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4위는 의학과 간호 등 보건 및 복지(52만9000원)가 차지했다. 기타를 제외하고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가장 낮은 희망 전공 영역은 관광, 여가, 체육학 등 서비스로 30만5000원이었다.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을 살펴봐도 일반고의 경우 일반교과 중 수학(53.7%)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영어(48.2%), 국어(29.8%) 순이었다.

이에 따라 입시업계에서는 상위권 대학들이 최상위권 변별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각 대학들이 수능에서 빠진 심화 미적분, 기하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미적분이나 기하 등을 공부하지 않고서는 과학 기술 분야에서 종사할 이공계열 입학생의 수학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대한수학회는 심화 수학 신설을 주장하며 미적분Ⅱ와 기하 과목은 이공계열 대학에서 필수라며 시험에서 빠질 경우 과학 기술 국가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상위권 대학 의대와 이공계는 정시에서 심화수학 과목에 대한 내신 평가가 추가될 수 있고, 수시에서는 관련학과에서 논술과 면접 등 심화수학에 대한 평가가 강화될 수 있다"며 "이럴 경우 수험생 입장에서는 학교내신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대학교 1학년 과정에서 교양과목 등으로 편성시켜 수험생들이 지원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려는 대학들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국교위가 사회·과학의 9개 융합선택 과목에 절대평가(A∼E등급)만 고교 내신에 도입하도록 권고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내신 변별력이 현재보다 떨어져 수능 중요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마저도 절대와 상대평가(1~5등급)가 함께 기입되는 공통과목과 선택과목보다 중요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교위는 "대입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내신과 관련해 상대·절대평가를 병기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동시에 고교학점제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이를 의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임 대표는 "대학들은 상대평가가 병기되는 과목의 중요도를 높일 수밖에 없고 학생들도 상대평가 과목과 내신 확보를 위해 수강생이 많은 과목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며 "고등학교가 융합선택과목을 비중 있게 운영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