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窓]블록체인과 탄소배출 인증의 미래

머니투데이 소윤권 엔버스 대표 2023.12.26 02:03
글자크기
소윤권 엔버스 대표.소윤권 엔버스 대표.


지난 11월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에 특화한 에코아이가 코스닥에 상장됐다. 에코아이는 아시아 최대 온실가스 감축 전문기업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사업을 진행해 감축량만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나 사설 인증기관(Verra 등)으로부터 탄소배출권(상쇄배출권)을 발급받고 이를 판매하거나 거래해 수익을 창출한다. 에코아이의 상장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려주는 동시에 '탄소가 기회를 만든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그런데 에코아이가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서 탄소감축사업을 진행했는데 '인증기관'이 인증해주지 않는다면? 끔직한 손해가 예상된다. 이런 가정은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에서 인증절차가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보여준다.

탄소배출권은 규제시장과 자발적시장에서 거래되는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규제시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른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되는 시장으로 규제시장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 배출업체에 할당되는 배출허용량인 할당배출권과 외부에서 감축한 온실가스에 대한 실적을 인증받아 증서로 전환한 상쇄배출권(탄소크레딧)으로 구분된다. 반면 자발적시장은 배출량 감축의무가 없는 개인·기업·정부·비영리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탄소감축 프로젝트에 참여해 상쇄배출권(탄소크레딧)을 만들어 거래하는 민간 탄소시장이다. 규제시장 상쇄배출권의 인증기관은 유엔의 자문기관인 유엔기후변화협약이다. 교토협약에 의거한 인증기준은 '사업수행 지속가능성, 행정적인 진단절차 수립 여부, 환경영향 여부 평가, 회계감사 확인시의 가정 타당 여부 증명 등 복잡하고 까다롭다.



자발적시장의 상쇄배출권은 자체 인증기준을 가지고 탄소감축 활동에 대해 평가하는 모든 단체가 인증기관이 될 수 있다. 다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신뢰도 높은 비영리 민간 인증기관 베라(Verra)의 경우 '탄소크레딧 발생 원인의 신뢰성, 감축효과의 검증,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인증기준으로 삼고 있다. 국제적 신뢰도가 부족한 로컬 인증기관들은 독자적인 인증기준을 통해 저렴하고 빠른 속도의 인증을 실현한다. 대표적인 국내 인증기관인 대한상공회의소 탄소감축인증센터는 기업이 고효율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경우에도 탄소감축 활동으로 인증하고 있으며 6개월 이내의 빠른 인증속도가 특징이다.

앞서 가정한 에코아이의 인증 실패 상황에서 에코아이는 소규모 시범투자 프로세스 선진행을 통해 개발 리스크를 극복하고 있다. 이런 복잡한 과정 없이 인증기관이 블록체인기술을 채택해 자발적 상쇄배출권 '인증'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확보해준다면 개발 리스크는 근본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인증기관이 블록체인의 분산원장기술을 적용한다면 자발적 탄소배출권 인증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인증절차의 핵심인 인증위원회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성해 동시다발적으로 인증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인증 단계별·영역별 책임소재를 분명하게 할 수 있다.



OFP(Open Forest Protocol)같이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해 독창적이고 급진적인 탄소배출권 인증 프로젝트를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OFP는 파트너십을 맺은 지역 산림전문기구, 시민단체, 특화기술 보유 기업 및 단체 등의 밸리데이터 합의체가 인공위성, GPS, 원격센싱 등 방식으로 사업을 검증하고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인증한다. 밸리데이터 풀에 참여하는 전문기관은 OPN 토큰을 예치(staking)하고 검증수행에 따라 OPN 토큰을 보상으로 받으며 검증 유효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면 토큰이 슬래싱(slashing penalty)되는 구조를 취하는 등 OFP에서는 블록체인 특유의 디파이(Defi) 구조를 바탕으로 투명하고 빠른 인증절차가 진행된다.

불투명하고 복잡한 자발적 탄소배출권 인증업무를 투명하고 단순하게 만드는 툴로서 블록체인은 그 자체로 존재 가치가 충분하다. 그런 의미에서 블록체인이 적용되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인증영역의 미래는? 예측 가능성이 높아진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