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하림 HMM 매각 협상… "안전장치 협상여지 없다"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2023.12.18 19:41
글자크기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HMM 본사 사무실 내부 전광판에 HMM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 KDB 산업은행과 한국해양공사는 23일에 진행되는 HMM 인수 본입찰에 하림·동원·LX인터내셔널 등 3개 기업이 적격 인수 후보로 선정됐으며, 이날 오후까지 본입찰을 마감하고 개찰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2023.11.23.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HMM 본사 사무실 내부 전광판에 HMM 홍보 영상이 나오고 있다. KDB 산업은행과 한국해양공사는 23일에 진행되는 HMM 인수 본입찰에 하림·동원·LX인터내셔널 등 3개 기업이 적격 인수 후보로 선정됐으며, 이날 오후까지 본입찰을 마감하고 개찰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2023.11.23.


HMM (17,090원 ▲150 +0.89%)(옛 현대상선) 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이 선정된 데 대해 정부는 "HMM을 국적선사로 운영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대해선 협상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하림그룹은 이번 HMM 매각전에서 영구채 전환 유예와 지분매각 조건 예외 적용 등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 조건에 대해 물러서지 않겠다는 정부 의견이 모아지며 이번 우선협상대상 선정이 진행됐다는 의미다.

KDB산업은행(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는 HMM 지분 매각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하림그룹 계열사인 팬오션과 JKL파트너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산은·해진공과 하림 측은 이에 따라 세부 조건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며 2024년 상반기 중 거래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하림그룹은 지난달 본입찰에서 HMM 입찰가로 6조4000억원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매각예정가를 충족하는 데다 경쟁사였던 동원그룹보다 많은 금액이다. 높은 자금 동원력으로 HMM 인수에 한발 다가섰지만 산은과 해진공은 우선협상대상 발표를 미뤄왔다.

정부 안팎에 따르면 우선협상대상 발표가 미뤄진 것은 하림 측이 제시한 세부 계약조건 때문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국내 유일의 국적 대형컨테이너선사인 HMM을 매각하는 데다 조단위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인 만큼 △향후 5년간 지분매각 금지 △3년간 연간 배당 5000억원 제한 △매각 측 비상임이사 지명권 등을 조건으로 달았다.



HMM이 정상화되고 시장 매물로 거론된 시점부터 국적선사로 운영보다는 보유현금에 눈독을 들인다는, 일명 '먹튀'의혹이 많았던 탓이다. 산은의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유지 등을 위해 매각에는 동의했지만 정부로선 국적선사 유지와 '먹튀방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했다는 게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하림 측은 산은·해진공에 영구채(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을 유예할 것, 사모펀드인 JKL파트너스는 '지분매각 금지' 조건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거나 매각 금지 기간 적용을 완화해 줄 것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HMM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정부 측 지분율은 32.8%에 달한다. 인수자 측의 지분율은 57.9%에서 38.9%로 줄어드는 만큼 의사결정과 배당에서 불리한 점을 염두에 둔 요구다. 비상임이사 지명권에 대해서도 하림 측의 부정적 반응이 있었다고 한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하림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이들 안전장치에 대한 정부 부처 내 입장이 하나로 모아졌다는 의미"라며 "안전장치에 대해선 하나도 협상할 여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우선협상과정을 통해 세부조절은 있겠지만 하림그룹이 영구채 전환과 배당 제한 등 조건을 수용하지 못하면 최종 매각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해운시황이 정점을 지나 둔화되는 현 상황을 고려해도 영구채 전환을 유예하거나 무분별한 배당을 허용할 경우 산은과 해진공이 배임 시비에 걸릴 수도 있다. 무엇보다 HMM에 들어간 공적자금의 안정적 회수와 수출국가의 기간사업으로써 해운산업의 중요도를 고려할 때 단순 시장논리에 의해서만 HMM을 팔 수 없다는 게 정부 측 입장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