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 '슈퍼을' ASML과 동맹..."시너지·경쟁력 강화 기대"

머니투데이 한지연 기자 2023.12.13 04:15
글자크기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간) 암스테르담 크라스나폴스키 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 간담회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3.12.1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간) 암스테르담 크라스나폴스키 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 간담회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3.12.1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네덜란드와의 반도체 동맹에는 한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 '원팀'의 의지가 고스란히 담겼다. 세계적 반도체 장비기업 ASML과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간 MOU(업무협약)로 국내 반도체 제조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장기적인 산업 발전의 밀알이 될 인재 양성을 위해 두 나라가 힘을 합치기로 했다.

삼성전자 (81,500원 ▼100 -0.12%)와 ASML은 내년부터 1조원을 공동 투자해 국내에 차세대 반도체 제조 기술 R&D(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ASML이 반도체 제조기업과 해외에 R&D센터를 설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슈퍼을' ASML이 연간 매출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인정한 셈이다.



R&D센터 공동 설립은 곧 신속한 의사소통으로 이어진다. 소재와 장비, 부품사, 그리고 제조사까지 여러 기업들이 얽힌 반도체 생태계에서 원활한 협력은 제조 경쟁력 우위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ASML이 독점 공급하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는 연간 출하량이 40대 안팎에 불과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36,500원 0.00%) 등 국내 기업들뿐만 아니라 인텔과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들이 ASML의 EUV 노광장비를 목 빼고 기다린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미세 공정을 개발하는 것은 혼자 하는게 아니다"며 "ASML이 새로운 장비를 만들 때 삼성전자와 함께 테스트를 해 보는 등 좀 더 긴밀한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조 역량 강화에 이어 친환경 반도체 생태계 확보에도 힘을 모은다. ASML은 SK하이닉스와 EUV를 친환경적으로 활용해 에너지 소모량을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양국은 반도체 인재를 함께 양성하기 위한 '반도체 아카데미 협력 MOU도 체결했다. 장기적인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선 결국 우수한 인력을 키우는 것이 관건이다. 양국 반도체 분야 미래 세대들의 교류 활성화는 기술 교류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국내 기업들과의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 (국내 반도체) 경쟁력 강화로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ASML로부터 국내 반도체 장비업체들이) 노광장비 기술을 전수를 받는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궁극적으로 국내에서도 노광장비를 개발할 수 있는 계획을 그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에서 글로벌 1위지만, 반도체 장비 분야에선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톱10 기업 중 한국 업체는 단 한 곳도 없다.

한편, ASML은 첨단 반도체 공정에 필수적인 EUV 노광장비를 독점 생산해 슈퍼 을이란 별칭을 얻은 기업이다. 지난해 기준 연간 매출 30조원으로, 미국의 AMAT(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에 이어 글로벌 반도체 장비회사 2위다.

반도체 제조 과정 중 노광 공정은 웨이퍼에 미세한 전자 회로를 새겨 넣는 과정이다. 회로 선폭이 좁아질수록 성능과 공정 효율성이 커진다. EUV장비는 7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첨단 공정에 필수적이다. 반도체 공정이 갈수록 미세화하면서 EUV 장비 중요성도 계속해서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의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밴티지마켓리서치는 반도체 제조장비 시장 규모가 지난해 기준 1015억 2000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1879억 1000만 달러(247조2707억원)로 성장할 것이라 내다봤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