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이면 '자율주행 트랙터' 변신…불규칙한 韓 농지에 더 강하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3.12.09 15:00
글자크기

[이주의핫딜]3단계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 아그모 15억원 프리A 투자 유치

편집자주 벤처·스타트업 투자흐름을 쫓아가면 미래산업과 기업들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 주간 발생한 벤처·스타트업 투자건수 중 가장 주목받은 사례를 집중 분석합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그모 키트를 부착한 농기계 예시/사진=아그모 아그모 키트를 부착한 농기계 예시/사진=아그모


"경작 가능한 면적이 넓은 북미·유럽과 달리 아시아 농지는 좁고 지형도 불규칙한 데다 한 땅에서 논농사와 밭농사를 모두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부분까지 모두 고려한 최적의 솔루션이다."

전아람 퓨처플레이 책임심사역은 아그모 투자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말했다. 농기계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한 애그테크(농업기술) 스타트업 아그모는 최근 15억 원의 규모의 프리A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에는 퓨처플레이와 농약·비료 전문제조업체 경농이 참여했다. 누적 투자유치액은 19억원이다.



아그모는 트랙터, 이앙기 등 기존 농기계에 센서, 오토스티어(차로 유지 보조 기능), HMI(인간기계인터페이스), 카메라 등을 부착해 자율주행 농기계로 사용할 수 있는 '아그모 키트'를 개발했다. 이를 달면 경운(논밭을 갈고 김을 맴), 이앙(못자리에서 기른 모를 본논에 옮겨 심는 일), 균평(땅을 고르게 펴는 것) 등 다양한 농작업을 무인 자율주행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아그모 관계자는 "농촌은 60세 이상이 평균 62.5%에 이르는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일할 사람이 부족해 자율주행 기술 도입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자율주행 농기계는 농기계에 익숙지 않더라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조작 미숙으로 인한 농작물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데다 한사람이 여러 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일손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아그모는 서울대학교 바이오 시스템공학 및 정밀농업 연구실에서 자율주행을 연구했던 학·석·박사 출신 연구원 4명이 2022년 창업한 회사다. 1994년생 박승진 대표가 최고경영자(CEO)를, 1991년생 전찬우 박사가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공동 CEO를 맡고 있다. △농작업별·진출입로 경로 생성 기술 △경사지 보정 기술 △학습형 경로 추적 기술 △장애물 인식 및 정지 기술 등 대학 연구실에서 거둔 연구성과를 사업화하고 있다.
아그모 키트/사진=아그모 아그모 키트/사진=아그모
이번 투자 결정엔 아그모가 농기계 자율주행 3단계 성능을 확보한 회사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농기계 자율주행 성능은 5단계로 나뉜다. 3단계는 자율주행과 함께 자동으로 농작업이 가능하다. 1단계는 직진, 2단계는 직진과 좌·우 커브 등 자율주행만 가능하다. 아그모 키트를 부착한 농기계는 농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한번 주행하면 자동으로 농지 크기를 측정한 뒤 주행로를 결정하고 농작업도 알아서 수행한다.

전 책임심사역은 "3단계 기술을 통해 삼각형, 사각형 등 다변형 농지에서 작업별로 알아서 경로를 생성하고, 한정된 농지 안에서 다양한 농작업을 최대한의 효율로 수행해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농경지 환경에 맞춰 자율작업이 가능하다는 점도 이점으로 꼽았다. 전 책임심사역에 따르면 북미, 유럽의 영농 환경은 평지가 많고 면적이 넓다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경작지는 작고 불규칙적이라서 잦은 선회가 요구되고 한 땅에서 논농사 밭농사를 하는 등 복잡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아그모 키트는 이런 아시아권 영농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높은 난도의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미 경기도 용인·수원·이천, 전라도 나주·고흥 충청도 서산·안산·논산 등 8개 지역에서 아그모 키트를 활용한 농작업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는 설명이다.


붙이면 '자율주행 트랙터' 변신…불규칙한 韓 농지에 더 강하다
가격 경쟁력 면에서 우위에 설 수 있다는 점도 높게 평가됐다. 전 심사역은 "농기계가 비싼데 이미 사놓은 농기계에 장착만 하면 되므로 자율주행 농기계를 아예 새로 사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점도 투자 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 기존 농기계는 총 37만대로 매년 약 1만3000대의 신규 농기계가 판매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수요가 많을 것이란 전망이다.

아그모 키트의 또 다른 강점은 데이터 솔루션이다. 농기계에 부착된 키트는 주행 중 작물과 흙 상태 등을 파악하고 데이터를 수집해 해당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 책임심사역은 "이를테면 A라는 작물은 땅을 3cm 깊이로 파야 잘 자란다는 노하우를 데이터를 통해 자동 학습하는 식"이라며 "농업 분야 후계 인력 감소로 농사 잘 짓는 노하우가 이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경작법을 디지털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고부가가치 사업을 만들 수 있다는 확장 가능성도 염두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농업 시장 규모는 2026년 29조1300억원 규모가 예상된다. 이중 자율주행 농기계의 경우 연평균 성장률이 24%로 스마트팜(9.2%) 보다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