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지방시대 계획/자료제공=지방시대위원회
실제로 17개 시·도는 지역 고유의 슬로건을 내걸고 육성을 원하는 산업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경남의 경우 디지털 미래인재 양성과 방산강소기업 육성,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을, 충북은 'K-바이오스퀘어' 조성, 전남은 글로벌에너지 중심지 도약 등을 내세우는 비전을 내놨다.
4대 광역권에 비해 강소권으로 분류되는 강원과 제주, 전북 등 특별자치권은 차별화된 분권모델 개발을 전면에 내걸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특별자치도는 국제자유도시, 강원특별자치도는 미래산업글로벌도시를, 내년 1월 출범 예정인 전북특별자치도는 글로벌생명경제도시를 각각 모델로 제안했다.
지방시대위는 이같은 지역별 지방시대 계획을 반영해 앞으로 지정할 기회발전·교육발전·도심융합·문화 등 4대 특구와 함께 지방을 되살린다는 계획이다.
이 시각 인기 뉴스
다만 지방분권이나 균형발전 분야별로 미흡한 부분도 남아 있다. 특별지방행정기관(이하 특행기관) 정비가 그렇다. 특행기관은 중앙정부 산하 지역의 중소기업청이나 고용노동청, 환경청을 말한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특행기관 기능을 지방 정부로 이관키로 하고, 올해 초부터 행안부 등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각 부처별 반발이 심하고, 이관기능 선정 등에서 난항을 겪으면서 최근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도 안건이 통과되지 못했다.
여기에 권한이 커질 수밖에 없는 지방의회에 대한 감사기능과 투명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은데다 부정행위를 저지른 의원 징계 강화 등도 개선 과제로 꼽혔다. 앞으로 행정수요의 기반이 되는 생활인구 역시 교부세 기준 적용 여부 등 활용 방안이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은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분야별 계획이 한 번에 통합 추진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사안들은 보완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