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배터리 밸트' 도시광산에 깃발꽂은 SK에코플랜트

머니투데이 김평화 기자 2023.11.09 05:40
글자크기

[건설강국 코리아, 해외로 뛴다②]핵심소재 확보로 배터리 원가경쟁력 확보+IRA 대응까지…'K-배터리' 위상 높인다

편집자주 윤석열 정부와 기업이 '원팀 코리아'로 힘을 합쳐 해외 인프라 개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 이라크의 비스마야 신도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등 해외건설 먹거리. 이제 대한민국의 'K-건설'이 선점합니다.

미국 '배터리 밸트' 내 SK에코플랜트 합작법인 공장 설립 예정지/자료제공=SK에코플랜트미국 '배터리 밸트' 내 SK에코플랜트 합작법인 공장 설립 예정지/자료제공=SK에코플랜트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를 만들 때 꼭 필요한 광물을 도시에서 구한다. 사용 후 배터리에서 추출하는 기술로 가능해진 '도시광산'의 존재 덕이다. 다 쓰고 난 폐배터리에서 핵심광물(리튬, 코발트 등)을 다시 추출, 새 배터리를 만들 때 쓰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분야에 SK에코플랜트가 출사표를 내밀었다.

미국 조지아주, 켄터키주, 테네시주는 '3대 배터리 밸트'로 불린다. 글로벌 배터리 기업과 전기차 기업의 대규모 제조공장이 밀집한 지역이다. '배터리 밸트' 일대를 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들의 선점경쟁도 치열하다.



SK에코플랜트는 최근 자회사 테스와 미국에서 주목받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혁신기업 어센드엘리먼츠와 함께 켄터키주 홉킨스빌에 9290㎡ 규모 전기차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새로 지어지는 전처리 공장에선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인 스크랩(Scrap)과 수거된 폐배터리 등을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분해·파쇄하고 배터리 원료 추출 전단계인 블랙매스까지 추출할 예정이다. 이 공장에선 연간 1만2000톤 규모 블랙매스 생산이 가능하다. 이 공장은 이달 중 착공에 돌입해 2025년 1월 본격 가동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인근에는 어센드엘리먼츠가 미국 정부로부터 보조금 4억8000만달러(약 6500억원)를 받아 전기차 연간 75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의 북미 최초 양극재용 전구체 공장을 짓고 있다. SK에코플랜트와 테스, 어센드엘리먼츠의 3사 협력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전·후처리가 모두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배터리 제조기업이 즐비한 '배터리 벨트' 거점에서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배터리 벨트'는 대규모 고객 확보를 위해 노력중인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과,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기차·배터리 제조사들의 수요-공급이 일치하는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어센드엘리먼츠는 금속 추출·전구체·양극재 생산까지 한 번의 공정만으로 가능한 신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테스는 폐배터리 수거부터 금속 추출까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 과정에 대한 기술과 역량을 축적한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의 폐배터리 누적 처리물량은 6000톤에 이른다.

美 '배터리 밸트' 도시광산에 깃발꽂은 SK에코플랜트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되는 동시에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 자원 확보 움직임까지 더해지면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25년 56만대에서 2040년 4227만대로 75배 이상 치솟을 전망이다. 폐배터리 용량 역시 2025년 44GWh(기가와트시)에서 2040년 3339GWh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40조4955억원에서 2040년 약 235조48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북미 배터리 벨트는 제조 현장 근처에서 폐배터리 물량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리사이클링 이후 가공, 운송으로 발생하는 비용과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최적화된 지역으로 평가된다. 완성배터리 제조사나 소재사 입장에서도 광산에서 광물을 확보하는 것에 비해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광물을 조달할 수 있다. 제조원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켄터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장을 앞세워, 배터리·전기차 업계의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배터리 벨트에서 이뤄질 '합종연횡'에 동참한다는 방침이다. 완성차 기업의 전기차가 폐차되거나 리콜되는 경우, 희소금속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배터리 제조사로 보내 새 전기차 배터리를 만들어 완성차 기업에 다시 납품하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도 가까운 거리에서 실현이 가능해진다. 배터리용 광물을 생산하는 신규 광산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질수록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의 가치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인플레이션방지법(IRA) 대응도 보다 수월해진다. 미국에서 리사이클링 된 폐배터리를 광물을 수급하면 광물 소재지 역시 미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배터리 핵심 소재를 재활용하면 중국이나 칠레, 볼리비아 등 원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미국 IRA는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곳에서 채굴·가공한 배터리 핵심광물을 일정한 비율 이상 사용해야 세제 혜택을 준다.

SK에코플랜트는 미국은 물론 유럽, 중국 등 전기차·배터리 제조 요충지에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거점을 추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 23개국 46개 거점을 보유한 리사이클링 전문 자회사 테스의 물류·수거망을 내세워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테스는 싱가포르, 프랑스, 중국에 이미 폐배터리 처리시설을 운영중이다. 유럽 최대 허브 항구인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비롯해 유럽에도 다수 거점 마련을 추진 중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북미 배터리 벨트 공급망·밸류체인 차원에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SK에코플랜트도 글로벌 네트워크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시장 미국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