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대전서 원수처럼 싸운 유럽…하나로 뭉친 이유 [뉴스속오늘]

머니투데이 차유채 기자 2023.11.01 05:30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기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왼쪽부터) 2015년 6월 회의에 참석한 당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리, 장 클라우드 융커 유럽집행위원장,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 /브뤼셀(벨기에)=로이터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왼쪽부터) 2015년 6월 회의에 참석한 당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리, 장 클라우드 융커 유럽집행위원장,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 /브뤼셀(벨기에)=로이터


1993년 11월 1일 유럽 12개국이 참가한 유럽연합(EU)이 출범했다. 이는 평화를 향한 기대를 비롯해 아시아와 미국에 맞서 유럽 차원의 경제를 육성해야 한다는 절박함이 어우러진 결과였다.

2023년 2월 기준 27개국이 가입한 유럽연합은 미국과 맞먹는 거대한 경제 규모로 세계 주요 정치, 외교, 경제 현안에 있어서 강대국 국가원수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는다.



경제통화 및 정치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공동체는 2012년 지역공동체 중 처음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는 등 여전한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다.

경제 그 이상의 통합…ECSC→EEC→EC → EU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럽연합은 1957년 3월 로마조약 체결로 출범한 유럽경제공동체(EEC)로부터 시작되었다.

유럽경제공동체에 참여한 프랑스·룩셈부르크·이탈리아·독일(당시 서독)·벨기에·네덜란드 6개국은 모두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의 회원국으로, 1951년 4월 파리조약의 체결로 출범한 유럽석탄철강공동체로부터 기원한다.

프랑스의 사업가이자 정치가인 장 모네는 유럽에서 경제적 번영을 위한 최선의 방안은 국가 간 경제통합이라 주장했다. 이는 당시 프랑스 외무장관인 로베르 쉬망에게 전달됐고, 1950년 5월 프랑스와 독일 간의 석탄과 철강산업의 공동운영 계획을 담은 슈만플랜이 발표됐다. 이탈리아·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 4개 국가도 슈만플랜을 지지하며 1952년 7월, 6개국의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출범하였다.


회원국들은 농업, 운송산업 등에서도 통합을 계획했고, 그렇게 유럽경제공동체가 출범했다. 그리고 1967년, 유럽경제공동체 및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 집행부가 유럽공동체(EC)로 일원화됐고 1968년 7월 EC의 관세동맹을 완성했다.

이어 1979년 최초로 유럽의회를 직접선거에 의해 선출했고, 1993년 11월 마스트리흐트 조약에 따라 통화 및 정치동맹을 추진하기로 했다. 마스트리흐트조약은 로마조약과 별도로 외교 안보정책과 사법 협력 등에서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마스트리흐트조약의 체결로 유럽공동체는 1994년 1월 명칭을 유럽연합으로 변경했다.

폭넓은 통합 추구…유로화 도입→유럽 헌법 제정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999년 1월 1일 유로화가 도입됐다. 당시 유럽연합 회원국 중 11개국만 유로화를 도입했으나 이후 유로화 도입국이 늘어 2023년 10월 기준 EU 내 유로 정식 사용 국가는 20개국에 달한다. 이외에 산마리노, 바티칸, 안도라, 모나코도 유럽연합과 정식 협정을 맺어 유로를 자국 화폐로 통용하고 있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회원국을 지칭해 유로존(Eurozone)이라 부르며, 유로존 국가는 통화·외환·거시경제정책에 있어 유럽중앙은행(ECB)의 통제를 받는다.

유럽연합은 폭넓은 통합을 위해 2003년 유럽 헌법(European Constitution)도 제정했다. 그러나 프랑스와 네덜란드에서 조약 비준이 부결되면서 다른 나라들의 비준 연기와 취소가 촉발됐고, 결국 기존의 유럽 헌법을 대체할 리스본 조약을 2007년 12월 13일에 체결했다.

2009년 12월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유럽 연합에는 대대적인 개혁이 이뤄졌다.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에 위원장을 설치해 회원국의 영향으로부터 독립시켰으며, EU 수석 외교관의 권한을 확대해 외교와 안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했다.

위기의 연속…난민 유입→브렉시트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점차 현대적인 기구로 자리 잡아가는 유럽연합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각종 위기를 겪게 됐다.

2008년 진행된 세계적인 금융위기는 그리스를 시작으로 유로존 전체로 확산했다. 이에 2010년 유로존 국가의 재무장관들은 1100억유로의 금융지원에 합의했다. 이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2012년 3월, 회원국의 재정위기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담은 재정안정조약을 체결했다.

난민 위기도 만만치 않았다. 이민자들의 수는 2015년 정점에 달했고, 회원국들은 난민 수용을 두고 입장차를 보였다. 결국 유럽연합은 약 12만명의 난민을 회원국에게 할당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폴란드·헝가리·루마니아 등 중동유럽 국가들은 반발했고, 유럽국가간 대립 양상이 지속됐다.

가장 큰 위기는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한 일이었다. 유럽연합의 재정 악화가 심화하자 영국이 내야 할 유럽연합 분담금 부담이 커졌고, 이에 영국 보수당을 중심으로 유럽연합 잔류 반대 움직임이 확산했다.

계속되는 난민 유입은 탈퇴 요구를 가속했고, 결국 2016년 6월 23일 진행된 브렉시트 찬반 국민투표에서 투표에 참여한 영국 국민 3355만명의 51.9%인 1742만명이 브렉시트 찬성에 표를 던졌다. 이후 유럽연합의 입법부인 유럽의회가 2020년 1월 31일 영국의 EU 탈퇴를 승인함으로써 브렉시트가 현실화했다.

위기 속 빛난 '화합'…지역공동체 최초 노벨평화상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럽연합은 갖은 고초를 겪었으나 유럽 대륙의 화합을 위해 힘써온 점을 높게 평가받아 2012년 지역공동체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유럽연합은 긴 유럽 역사 속에서 앙숙이었던 프랑스와 독일의 사이를 보다 친밀하게 만들고, 민주주의가 뿌리내리지 못했던 동유럽과 중부유럽에서 민주주의를 강화한 공로가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은 유럽연합의 노벨 평화상 수상을 축하했으나, 유럽회의주의자인 프랑스의 마린 르펜과 영국의 나이젤 패라지는 "유럽연합은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맹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유럽연합은 노벨 평화상 수상으로 받은 상금 93만유로에 약 100만유로를 더해 총 200만유로를 시리아 등 전쟁 피해 아동 2만여명에게 기부하면서 화합의 가치를 드높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