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 재진출 소식에 中 미디어 일제히 부정적 반응

머니투데이 왕양 기자 2023.11.01 16:00
글자크기
메디톡스 본사 전경메디톡스 본사 전경


최근 메디톡스가 '뉴럭스'라는 제품명의 보툴리눔 독소 A형 주사제의 중국 판매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 미디어들이 벌써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푸투, 즈후, 차오치, 애슨크지 등의 종합뉴스 사이트, 진리터우탸오, 이덴쯔쉰, 화런터우탸오, 콰이즈쉰 등의 1인 미디어 플랫폼, 포털, SNS 등 중국 미디어에 뉴럭스 출시 계획 소식이 연이어 올라오고 있다.



메디톡스는 지난 24일 차세대 보툴리눔 독소 A형 주사제 제품 '뉴럭스'의 등록을 위해 기존 제품의 중국 CDE(의약품평가센터), 중국 CFDI(식품의약품안전검사센터)의 수입의약품 등록신청을 철회한다고 공시했다.

메디톡스는 뉴럭스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를 취득했으며, 차후 중국시장 마케팅과 영업이익 창출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해 중국 수입의약품 등록 신청과 제조소 변경을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미디어들은 앞서 메디톡스가 불법 유통 등 관련 법규 위반으로 회수 파기 명령, 제품 승인 취소, 제조 판매 및 사용 중지 등의 식약처 행정조치를 받았던 일을 소개하며 우려를 표했다.

이들 미디어들은 올해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주사용 보툴리눔 독소 A형 추적 시스템 구축 가속화에 관한 고시를 발표한 점을 들어, 메디톡스가 갑작스럽게 기존 제품의 등록신청을 철회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냈다.

또 메디톡스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2018년 2월 당국에 기존 제품의 시판허가를 신청하고 5년 여의 시간이 흘렀으며, 허가가 승인될 가능성도 적은 상황에서 또 다른 이름의 제품 등록을 재신청하는 것도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특히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최근 발생한 칭다오 맥주 소변 테러 사건과 비교하며, 한번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기 쉽지 않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한 누리꾼은 "칭다오 맥주가 제3공장을 전면 폐쇄하는 등 조치에 나섰지만 신뢰도는 이미 바닥에 떨어졌고 다시는 칭다오 맥주를 구매하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다"며 "마찬가지로 메디톡스는 그간 서류 조작 등으로 다양한 소송과 행정처분에 휘말렸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신뢰도도 낮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메디톡신이든 뉴럭스이든 어떤 이름이라도 믿지 않고 구매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인의 돈을 벌면서 중국인 건강을 해치면 안된다"고 말했다.

중국의 업계 관계자는 "신제품으로 한국에서 품목허가를 받는 것이 '만능 키'가 아니다"며 "품질이 보장되지 않으면 신제품도 이름만 바뀔 뿐, 단기간에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브랜드 구축은 점진적이고 복잡하고 긴 과정이지만 브랜드 이미지의 붕괴는 한순간이다"고 지적했다.

메디톡스가 기존 메디톡신이 생산되는 오창 1공장보다 생산 규모가 큰 오송 3공장에서 뉴럭스의 대량 생산에 착수했으며, 빠른 중국 진출을 위해 해외 제약사들과 논의를 시작했다는 소식에도 부정적인 반응이다.

중국 미디어들은 메디톡스와 협력했던 화시바이오와의 합자회사 협의가 종료된 점을 지적하며 메디톡스가 중국 내 새로운 파트너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화시바이오는 1월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SIAC)에 메디톡스에 대한 1190억 원 규모의 손해 배상 청구를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SNS에는 "안전성이 없으면 생산 규모가 커져도 소용 없다", "화시바이오가 메디톡스와 제휴해서 큰 손해를 입었는데 중국 기업 중에 두 번째 화시바이오가 나타날 수 있을까"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부정적 여론뿐 아니라 현실적인 부분에서도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새로 제품을 등록하며 임상 승인, 시판 허가 등 관련 절차를 거치는 데만 4~5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존 제품의 등록 신청을 철회하고 새롭게 시작하면 기회비용이 5000억~1조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는 전문가도 있다. 또 4~5년 후에는 보툴리눔 톡신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그때가서 이익을 내는 것은 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외에도 각종 소송으로 소송 비용 등의 지급수수료도 1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이는 최근 4년 간 영업이익 합계 700억 원 보다 커 기형적 사업 형태라는 지적도 나온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