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김포시장 "이민청 유치 최적지는 김포...다문화도시 성장"

머니투데이 경기=권현수 기자 2023.10.25 16:00
글자크기

서울, 공항, 항구 등 인접 지리적 강점, 관내 11개 산단 등 풍부한 일자리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 이주배경청소년 등 특화된 시책 추진
수도권 서부권역(김포, 고양, 파주, 인천서구, 강화)거점지역으로 최적지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다문화 이주민 정책 포럼에서 김병수 김포시장이 토론자로 나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김포시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다문화 이주민 정책 포럼에서 김병수 김포시장이 토론자로 나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김포시


경기 김포시가 '출입국·이민관리청'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25일 김포시에 따르면 외국 국적 동포보다 등록 외국인이 더 많은 김포는 재외동포위주가 아닌 다양한 이주민이 살고 있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다문화도시다. 올해 등록 외국인 수는 2만1714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김포를 중심으로 고양시와 파주시, 인천시 서구와 강화 등 김포시를 포함한 서부 권역의 이주민은 8만여명으로 집계됐다.



김포시는 △서울과 김포공항·인천공항·경인항·인천항 등 30분 이내 접근 가능한 지리적 강점 △11개 산업단지, 7568개의 중소기업체 보유로 풍부한 일자리 △풍부한 개발 가용지를 바탕으로 다문화, 거주 외국인에게 특화된 도시개발의 가능성 △항공교통, BRT, 자율주행스마트도로 등 최첨단 미래교통시스템 도입 예정 △한강2콤팩트시티 조성으로 대도시 기반 조성 △대곶지구 친환경스마트재생사업 진행으로 첨단일자리 확대 가능성 등과 다양한 이주민친화시책 등을 유치 경쟁력으로 보고, 이민청 TF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김포시는 포용과 관용정책으로 다문화 가정의 자립을 돕는 시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일방적인 다문화라는 개념에서 나아가 문화다양성의 가치와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해석해 소통으로 다양한 정체성이 교류될 수 있는 '상호문화주의'를 비전으로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해 인식전환을 도모하고 있다.
지난 9월 김포에서 열린 세계인 큰잔치에서 김포거주 이주민들이 '김포에 사는 우리' 슬로건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사진제공=김포시지난 9월 김포에서 열린 세계인 큰잔치에서 김포거주 이주민들이 '김포에 사는 우리' 슬로건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사진제공=김포시
상호문화주의는 김포시 내 이주배경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통진읍에 '상호문화교류센터'라는 공간을 통해 구체화했다.

또한 시는 국적에 관계없이 보편적인 보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관내 어린이집 재원 중인 만 0~5세 외국인 아동을 대상으로 총 28만원의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는 이번 사업은 민선8기 출범 이후 추진된 사업이다.

그간 어린이집에 다니는 외국인 아동은 보육료 지원대상에서 제외되었는데, 지난해 9월부터 매월 약 28만원의 보육료(시·도비 10만원, 시비 18만원)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작년에 160여명, 올해는 180여명의 외국인 아동이 혜택을 받고 있다.


이 사업의 지원대상 가정은 관내 거주 90일 초과한 자(체류등록)로, 외국인등록증 및 외국인등록사실증명 발급이 가능한 시민이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시가 우리 어린이들을 위해 따뜻한 행정을 펼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민관의 원활한 소통이 큰 역할을 했다. 앞으로 포용, 관용 시책을 통한 외국인 주민과의 공존은 이제 가볼만한 길이 아닌 반드시 가야할 길"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