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건설사 PF 보증액, 자기자본 넘어…한신평 "위험수위"

머니투데이 김평화 기자 2023.09.26 14:55
글자크기
대형건설사 A와 B사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인내싱) 보증규모가 자기자본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우발채무가 현실화될 경우 재무부담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수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권 PF 부실화 가능성과 지방 주택시장의 침체 장기화로 건설사들의 PF우발채무와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수도권 중심의 주택시장 반등에도 지방의 미분양 위험이 여전한 가운데, 건설사들의 PF보증 규모 증가세가 지속된다. 금융권 부동산 PF대출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유동성 대응을 포함한 건설사들의 사업 및 재무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26일 한국신용평가가 발간한 '건설:끝나지 않은 PF Risk, 유동성 역경에서 살아남기(I)' 보고서 따르면 한신평 등급 보유 건설사 중 도급사업PF 보증이 1조원이 넘는 곳 5개사다. 이중 PF보증액이 자기자본을 넘어서는 곳은 A,B사 등 2곳이다.

보고서는 "일부 건설사들은 위험 및 주의에 해당하는 PF 보증 규모가 자기자본을 초과하고 있어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경우 재무부담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내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3년 6월 말 기준 건설사 PF보증은 지난해 말 대비 1조7000억원 증가한 27조7000억원(정비사업 포함)으로 올해 들어서도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 PF사업 비중이 큰 지방 예정현장의 착공 및 분양이 지연됨에 따라 브릿지PF의 본PF 전환을 통한 우발채무 해소가 제한되고 있다. PF차입금 차환 과정에서 시공사가 추가적인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국내 채권시장 투자심리를 급격히 얼어붙게 만든 레고랜드 사태 같은 사건이 쌩길 경우 차환 위험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A사는 PF 차환 과정에서 신규 발행금리가 10% 이상이다. 더구나 최근 금융시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일부 현장 유동화증권을 직접 매입하는 등 조달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C사의 문제는 도급사업 PF보증 1조6000억원 대부분 미착공사업장 몫이라는 점이다. 해당 사업장의 절반 이상은 지방에 있어 경기 부진에 따른 사업지연으로 우발채무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지방 분양시장 침체, 상업용 부동산 부진, 금융권 PF 부실화 이슈 등이 불거지는 점을 감안할 때 건설사의 PF 차환 및 사업성 리스크가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202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건설사 신용도 하방압력이 완화되기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중견건설사는 더 취약한 구조다. 건설사 현금흐름 저하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재무구조나 자본시장 접근성이 취약한 중견 이하 건설사의 유동성 대응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위 건설사 대비 분양위험이 높은 사업장 구성으로 인해 운전자금이나 PF보증 부담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 외부 지원이나 자산 담보 없이는 자체적인 자금조달도 쉽지 않은 상황. 보고서는 "현금흐름 부진과 자금조달 차질이 지속됨에 따라 시공능력 50위 이내 중견 건설사들의 유동성 대응에 대해서도 보다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공사원가 부담 하에서 지방 주택시장 개선은 지연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공사원가의 급격한 상승은 단기적인 관점의 일부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마진 축소 및 주택공급 지연에 따른 이익창출력저하, 원가 인상분을 반영한 분양가 상승 등으로 건설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의 경우 현재까지도 공사원가를 반영한 분양가 수준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가운데, 앞으로 건설사별로 예정사업장 구성이나 분양가격 인하를 감내할 수 있는 재무여력에 따라 분양실적이 차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