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률 절반 후려치기...시멘트업계 "부글부글"

머니투데이 지영호 기자 2023.09.26 14:56
글자크기
(의왕=뉴스1) 이승배 기자 = 시멘트 가격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아파트 공사비가 평당(3.3㎡) 1000만 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요 시멘트 업체들은 산업용 전기료 상승, 환경규제 등을 이유로 오는 7월 부터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27일 경기도 의왕시 한 시멘트 공장에서 믹서트럭들이 오가고 있다. 2023.6.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의왕=뉴스1) 이승배 기자 = 시멘트 가격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아파트 공사비가 평당(3.3㎡) 1000만 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요 시멘트 업체들은 산업용 전기료 상승, 환경규제 등을 이유로 오는 7월 부터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27일 경기도 의왕시 한 시멘트 공장에서 믹서트럭들이 오가고 있다. 2023.6.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쌍용C&E (7,000원 0.00%)가 레미콘 건설자재업계와 시멘트 가격 인상률을 합의하면서 시멘트업계에서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멘트업계 1위인 쌍용C&E의 가격합의로 시멘트 가격 인상률 가이드라인이 잡혔다는 것인데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멘트사들은 긴급회의를 갖고 추석 연휴 이후 레미콘사에 가격인상액을 재통보할 예정이다.

26일 시멘트업계는 지난 25일 쌍용C&E의 가격발표에 당황하는 모습이다. 쌍용C&E는 전날 시멘트값을 지난 4월 발표한 인상률 14.1%에서 크게 후퇴한 6.9% 인상한다고 수정했다. 인상된 가격은 1종 벌크시멘트의 경우 1톤당 11만2000원(7200원↑), 슬래그시멘트의 경우 1톤당 10만2500원(6700원↑)이다.



가격협상 어떻게 진행됐나
주요 시멘트사 종전 가격인상 발표 내용주요 시멘트사 종전 가격인상 발표 내용
가격인상을 먼저 발표한 쌍용C&E와 성신양회는 그동안 국토교통부 주도로 한국건설자재직협의회,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등과 7번의 가격협상을 진행해왔다. 시멘트사들이 4월 말을 시작으로 시멘트 가격을 12.1~14.3% 인상한다는 계획을 차례로 발표하자 레미콘업계와 건설자재업계가 수용할 수 없다며 반발한 것이 정부 주도로 협상을 시작한 배경이다.

이날 합의는 성신양회는 배재한 채 쌍용C&E만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다수의 기업이 같은 자리에서 가격협상을 진행할 경우 담합 가능성을 우려해서다.



이에 성신양회는 쌍용C&E와 레미콘·건설자재업계 간 합의가 도출되면 그 틀에서 인상률을 조정하겠다는 뜻을 전달하고 회의 장소를 떠났다. 쌍용C&E와 업계의 합의지만 성신양회도 인상률 조정에 동의했다는 의미다.

다른 시멘트사 인상액 적용시기인 10월을 협상의 마지노선으로 삼았던 양측은 계속된 협상에서 기존 인상률과 동결로 맞서오다가 상호 양보하기로 결론내렸다. 종전 인상률의 절반 수준으로 최종 인상률을 확정한 배경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지부진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있었다"며 "합의의 정신에 입각해 양측이 한발씩 물러서는 것으로 정리됐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한국전력(한전)이 4분기 전기요금 인상 계획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입주민이 전기 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뉴스1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한국전력(한전)이 4분기 전기요금 인상 계획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입주민이 전기 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뉴스1
시멘트사 '앞으로 어쩌나'
쌍용C&E의 인상률 합의소식이 전해지자 시멘트업계는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성신양회처럼 쌍용C&E의 합의 수준에 맞춰 인상하겠단 의사를 전달한 것은 아니지만 품질차이가 거의 없는 업종 특성상 홀로 종전 인상폭을 고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제는 제조원가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제조원가의 20%대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올해 9.5%와 5.3% 두차례 인상됐는데 4분기 또 한번 전기료 인상 가능성이 있다. 총부채 200조원을 웃도는 한전은 추석 이후 전기료 인상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진다.

계속되는 환경투자 소요비용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최근 5년간 시멘트 7개사가 투입한 설비투자비용은 1조7745억원이다. 게다가 시멘트사는 20227년까지 환경부 방침에 따라 질소산화물 방지시설(SCR)을 설치해야 한다. 1기당 설치비 약 300억원, 연간 운영비 2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한다. 일례로 10기의 소성로(킬른)를 보유한 쌍용C&E의 경우 10기의 SCR을 설치하면 설치비 3000억원, 운영비로 매년 2000억원을 지출해야 한다. 아직까지 SCR을 설치한 회사가 없어 막대한 비용증가가 예정돼 있다.

하지만 이번 합의에서 시멘트업계가 정부에 유예나 지원 카드를 받은 것은 아니어서 그대로 업계부담으로 쌓이게 됐다는 평가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이번 제한적 가격인상으로 환경투자가 제대로 이뤄질 지 의문"이라며 "정부 지원이 뒤따라야 시멘트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