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최근 5년간 12%였던 AI 투자 비중을 향후 5년간 33%로 약 3배 확대한다. 2028년까지 연간 매출을 25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지난해 연간 매출(약 17조원) 대비 8조원 늘어난 수준이다. 전체 매출에서 AI 매출 비중도 지난해(9%)보다 4배 증가한 36%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 대표는 "새로운 AI 서비스를 론칭하고, 기존에 돈을 버는 방식을 AI로 바꾸고, AI 회사 M&A(인수합병)를 통해 AI 매출을 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AI 인프라' 영역은 AI 데이터센터, AI 반도체, 멀티LLM 등 SK텔레콤의 첨단 기술 역량이 집결된 영역이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2030년까지 현재의 약 2배 수준으로 확대하고,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보유한 운영 역량과 CSP(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업자) 등 해외 파트너들과 협력해 데이터센터 사업 글로벌 진출도 추진한다.
SK텔레콤이 설립한 AI반도체 전문기업인 '사피온'은 차세대 추론용 AI칩 'X330'을 올해 말 출시한다. X330은 경쟁사의 최신 추론용 모델 대비 연산 성능 약 2배, 전력 효율도 1.3배 뛰어나다. 또 자사의 AI 기술 브랜드를 '에이닷엑스'(A.X)라 확정하고 초거대언어모델 이름도 '에이닷엑스'(A.X) LLM으로 정했다.
SK텔레콤은 미국 AI 기업 앤트로픽에 1억달러(약 1300억원) 규모로 투자를 집행했다. 양사는 한국어, 영어, 독일어 등 다국어 LLM 개발을 통해 통신사 특화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한국어 LLM 서비스 '에이닷'을 베타 공개 1년여 만에 정식 출시했다. 통화 요약, 캘린더 기능을 담은 'AI 전화', 슬립테크(숙면 기술) 스타트업 '에이슬립'과 협업한 'AI 수면 관리', 에이닷과 대화로 나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AI 뮤직' 서비스를 담았다. 에이닷을 활용한 아이폰 통화녹음 기능도 조만간 지원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아이폰 통화 녹음 기능과 관련해 기술적으로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고 있다"며 "아직 출시 전이라 구체적인 상황을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SK텔레콤은 자강과 협력 기반의 AI 피라미드 전략을 중심으로 AI 컴퍼니 실행력을 가속화하고 AI 관련 리소스 투자도 지속 확대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며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고 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동시에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글로벌 AI 컴퍼니, SK텔레콤의 모습을 기대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