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AI 인프라 △AIX △AI 서비스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산업과 생활 전(全) 영역을 혁신하는 'AI 피라미드 전략'을 공개했다. AI 피라미드 전략은 자사의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AI 서비스를 만들어 고객과 관계를 밀접하게 만드는 '자강'(自强)과 AI 얼라이언스 중심의 '협력' 모델을 피라미드 형태로 단계별로 묶어낸 전략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AI 관련 투자 비중을 지난 5년(2019~2023년)간 12%에서 향후 5년간(2024~2028년) 33%로 약 3배 확대해, 2028년 매출 25조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SK텔레콤이 설립한 AI반도체 전문기업인 '사피온'은 차세대 추론용 AI칩 'X330'을 올해 말 출시한다. X330은 경쟁사의 최신 추론용 모델 대비 연산 성능 약 2배, 전력 효율도 1.3배 뛰어나다. 또 자사의 AI 기술 브랜드를 '에이닷엑스'(A.X)라 확정하고 초거대언어모델 이름도 '에이닷엑스'(A.X) LLM으로 정했다.
SK텔레콤은 미국 AI 기업 앤트로픽에 1억달러(약 1300억원) 규모 투자를 집행했다. 양사는 한국어, 영어, 독일어 등 다국어 LLM 개발을 통해 통신사 특화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또 오픈AI와 최근 공동개최한 생성형 AI 해커톤에서 발굴한 우수 사례를 향후 서비스 개발과 사업화 추진에 활용할 예정이다.
AI 피라미드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AIX'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엔터프라이즈 등 핵심 사업 전반에 AI를 접목해 생산성과 고객 경험을 혁신한다는 전략이다. 모빌리티, AI헬스케어, 미디어, 애드테크(Ad.Tech) 등 SK텔레콤의 AI 역량을 인접영역까지 확장하며 가치를 높인다는 목표도 포함됐다.
SK텔레콤은 우선 모바일, 브로드밴드, 엔터프라이즈 등 핵심 산업을 AI와 접목할 계획이다. 마케팅, 고객센터에 AICC(AI컨텍센터) 등 AI를 접목하고, AI 기반으로 네트워크 인프라의 운영 효율도 높인다. 또 SK브로드밴드 Btv를 AI tv로 진화시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UAM(도심항공교통), 엑스칼리버 등의 AI 헬스케어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AI 혁신을 이어가고, M&A(인수합병) 등을 통해 미디어, 애드테크 등 영역도 AI 혁신에 나선다.
아울러 한국어 LLM 서비스 '에이닷'을 1년여 만에 정식 출시한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이 고객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혁신하고 일상과 AI 서비스 연결을 확대해 '나만의 AI 개인비서'로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에이닷은 기상, 출근, 취침 등의 생활 전반 일상에 AI를 결합할 예정인데 9월에는 AI 수면 관리, AI 뮤직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유 대표는 "SK텔레콤은 자강과 협력 기반의 AI 피라미드 전략을 중심으로 AI 컴퍼니 실행력을 가속화하고 AI 관련 리소스 투자도 지속 확대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며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고 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동시에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글로벌 AI 컴퍼니, SK텔레콤의 모습을 기대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