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N은 지난해 추석 연휴 극장가의 최고 흥행작이었던 '공조2:인터내셔널'을 비롯해 '브로커' '헤어질 결심' 등을 편성했고, 지상파도 '교섭(KBS2)'과 '킹메이커(SBS)', JTBC는 '헌트' '올빼미' 등 한국 영화 화제작들을 줄줄이 앞세웠다.
실제로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7년 추석 연휴에 방송된 MBC의 특선영화 '부산행'은 전국 시청률 12.9%를 기록한 바 있지만, 작년 추석에는 KBS2 '발신 제한'의 4.4% 시청률이 최고치였다. 불과 6년 만에 시청률이 3분의 1 수준으로 고꾸라진 셈이다.
TV 대신 OTT를 찾는 시청행태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긴 추석 연휴는 OTT의 주요 관람 형태인 '정주행' '몰아보기'에 적합하다는 게 관련 업계의 판단이다.
실제로 OTT 웨이브가 앞서 2년간(2021~2022년) 추석 시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추석 기간 가장 많이 찾는 장르는 '영화'였고, 가장 많이 접속하는 시간대는 오후 9~11시로 나타났다. TV 특선영화의 콘텐츠 수요 및 방영 시간대와 겹친다.
또 웨이브 이용자들은 앞선 추석 연휴 기간 하루 평균 7개의 타이틀을 시청했고, '한국 영화'와 '액션', '시리즈물 외화' 시청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웨이브는 올해도 '리바운드' '멍뭉이' '카운트', '젠틀맨' 등 신작 중심의 한국 영화와 '반지의 제왕' '트랜스포머' 등의 시리즈를 인기 기대작으로 내놓았다.
추석연휴마다 '오징어 게임' '수리남'으로 대박을 쳤던 넷플릭스 역시 야심작을 준비했다. 지난 22일 전편 공개한 넷플릭스 '도적: 칼의 소리'는 1920년 일제강점기 간도를 배경으로 한 웨스턴 스타일의 활극으로 주연 배우 김남길을 앞세웠다.
'무빙'으로 재미를 본 디즈니+도 배우 권상우·이상이 주연의 코믹 수사극 '한강'을 공개했고, 오리지널 범죄 액션극 '최악의 악'도 차례로 선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