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TSMC 입장에서는 미국이 좋은 투자처가 아니다. 애리조나에 건설 중인 TSMC의 공장은 숙련 인력 부족으로 가동 예정 시기가 계속 미뤄지고 있다. 미국 내 인력풀에는 TSMC의 주력 사업인 파운드리(위탁 생산) 인재가 모자란다. 미국 노조가 장비 설치 인력이 충분하다며 반박했지만, 기술 수준이 미흡하다는 것이 대만 업계의 평가다. 대만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 대규모 파운드리 팹에 적합한 인력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류더인 TSMC 회장은 최근 "비용 측면에서 보면, 해외 웨이퍼 팹의 초기 비용은 대만에 웨이퍼 팹을 지을 때보다 높다"며 "대만의 성숙한 반도체 생태계에 비해 해외 팹의 규모가 작고 미성숙해 전체 공급망 비용이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팹리스(설계 전문) 역량을 보유했지만, 파운드리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글로벌 TOP 5 안에 미국 기업은 글로벌파운드리 1곳 뿐이다.
대만 업계에서 '미국이 반도체 역량을 키우기 위해 대만 기업을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TSMC는 현재 패키징 공장을 미국에 건설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압박이 지속되면 다른 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다. 내부 일자리를 뺏기는 것도 문제다. TSMC는 직접 올해 '6000여명을 고용할 계획에는 변동이 없다'라고 언급했으나, 해외 시설이 늘면 내부 팹 인력은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만일 웨이퍼 팹을 건설하게 되면, 후공정이 필요한데 완성품을 대만으로 옮기게 되면 비용 부담이 너무 커지므로 어쩔 수 없이 후공정 공장도 건설해야 한다"며 "웨이퍼 팹의 1차 건설 계획이 발표될 때부터 미국에 추가 공장 건설을 강제당한 것"이라고 지적했다.